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897 following · 1113 followers

An intersectionalist, feminist, and socialist guy living in Seoul (UTC+09:00). @tokolovesme's spouse. Who's behind @fedify, @hollo, and @botkit. Write some free software in , , , & . They/them.

서울에 사는 交叉女性主義者이자 社會主義者. 金剛兔(@tokolovesme)의 配偶者. @fedify, @hollo, @botkit 메인테이너. , , , 等으로 自由 소프트웨어 만듦.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Hello, I'm an open source software engineer in my late 30s living in , , and an avid advocate of and the .

I'm the creator of @fedify, an server framework in , @hollo, an ActivityPub-enabled microblogging software for single users, and @botkit, a simple ActivityPub bot framework.

I'm also very interested in East Asian languages (so-called ) and . Feel free to talk to me in , (), or (), or even in Literary Chinese (,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安寧(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에 살고 있는 30() 後半(후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며, 自由(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聯合宇宙(연합우주)(fediverse)의 熱烈(열렬)支持者(지지자)입니다.

저는 TypeScript() ActivityPub 서버 프레임워크인 @fedify 프로젝트와 싱글 유저() ActivityPub 마이크로블로그인 @hollo 프로젝트와 ActivityPub 봇 프레임워크인 @botkit 프로젝트의 製作者(제작자)이기도 합니다.

저는 ()아시아 言語(언어)(이른바 )와 유니코드에도 關心(관심)이 많습니다. 聯合宇宙(연합우주)에서는 國漢文混用體(국한문 혼용체)를 쓰고 있어요! 제게 韓國語(한국어)英語(영어), 日本語(일본어)로 말을 걸어주세요. (아니면, 漢文(한문)으로도!)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こんにちは、私はソウルに住んでいる30代後半のオープンソースソフトウェアエンジニアで、自由・オープンソースソフトウェアとフェディバースの熱烈な支持者です。名前は洪 民憙ホン・ミンヒです。

私はTypeScript用のActivityPubサーバーフレームワークである「@fedify」と、ActivityPubをサポートする1人用マイクロブログである 「@hollo」と、ActivityPubのボットを作成する為のシンプルなフレームワークである「@botkit」の作者でもあります。

私は東アジア言語(いわゆるCJK)とUnicodeにも興味が多いです。日本語、英語、韓国語で話しかけてください。(または、漢文でも!)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Pixel 9a 아주 좋아 보인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kiwiyou's post

@kiwiyou 저요! 그리고 이미 아는 얼굴일 수도 있겠지만 @eighteen_child 님도…

kiwiyou's avatar
kiwiyou

@kiwiyou@twt.rs

漢字 좋아하시는 분 찾습니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땡스바 :spinny_cat_gay:'s post

@thx 応援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日本語(일본어)發表(발표)可能(가능)할까? 벌써부터 緊張(긴장)된다…

Fedify: an ActivityPub server framework's avatar
Fedify: an ActivityPub server framework

@fedify@hollo.social

We're incredibly honored to announce that (@index) has become a formal sponsor of Fedify through Open Collective!

This is a significant milestone for our project, and we're deeply grateful to @johnonolan and the entire Ghost team for their support and recognition of our work in the ecosystem.

Ghost's social web integration built on is a perfect example of how open standards can connect different publishing platforms in the fediverse. Their backing over the past months has been invaluable, and this formal sponsorship will help ensure Fedify remains sustainable as we continue to develop and improve the framework.

If you're building with ActivityPub or interested in federated applications, please consider joining Ghost in supporting open source development through our Open Collective:

https://opencollective.com/fedify

Every contribution, no matter the size, helps us maintain and enhance the tools that make the fediverse more accessible to developers. Thank you for being part of this journey with us! :fedify: ❤️ :ghost:

John O'Nolan's avatar
John O'Nolan

@johnonolan@mastodon.xyz

Ghost's social web integration is built on the fantastic work of @hongminhee and the Fedify.dev framework.

We've been backing work on the project for 6 months or so, and now we're thrilled to be formal sponsor of the project on Open Collective!

If you're building with Fedify and ActivityPub, please consider joining us to keep helping to make great open source work sustainable ❤️ Every little helps

opencollective.com/fedify

John O'Nolan's avatar
John O'Nolan

@johnonolan@mastodon.xyz

Ghost's social web integration is built on the fantastic work of @hongminhee and the Fedify.dev framework.

We've been backing work on the project for 6 months or so, and now we're thrilled to be formal sponsor of the project on Open Collective!

If you're building with Fedify and ActivityPub, please consider joining us to keep helping to make great open source work sustainable ❤️ Every little helps

opencollective.com/fedify

juxtapose's avatar
juxtapose

@xt@hackers.pub

컴퓨터 관련 제품들 중에 상품명에 "ㅇMMㅇ" 이라는 키워드를 넣은 경우가 많이 보이는데요.

검색해 봐도 진짜로 상품명에 쓰인 경우만 확인되고, 그밖의 언급을 전혀 찾을 수가 없네요. 업계 은어인가? 혹시 이것의 정체를 아시는 분?

daisuke's avatar
daisuke

@dai@hackers.pub · Reply to daisuke's post

@dai Domenicさんは東京在住w github.com/domenic

daisuke's avatar
daisuke

@dai@hackers.pub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hongminhee

近そうですね。 Chrome Built-in AIでのステータスもだいぶ前に「Early Preview Program (EPP)」からOrigin Trialになってました。

https://developer.chrome.com/docs/ai/built-in-apis

このEPPのTranslator, Language Detector, Sammarizerの各APIはLocalにGemini NanoをダウンロードしてChrome Canaryで管理(chrome://on-device-translation-internals/)してテストされていました。

画像のように個別の言語辞書データをインストールしてトレーニングさせる感じ。

W3CもChromeも同じGoogle ChromeのDomenicさんが管理してるんですね。

Google Chrome Canary (On Device Translation Internals) Language Packages.
ALT text detailsGoogle Chrome Canary (On Device Translation Internals) Language Packages.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そういえば今週の金曜日に第8回FediLUG勉強会が有る。すっかり忘れていた。早く発表資料を準備しないと。😱

헬렐's avatar
헬렐

@hellel@hackers.pub

안녕 해커스펍!

금강토's avatar
금강토

@tokolovesme@seoul.earth

언젠가 해커스펍 오프라인 밋업 같은 거 하면 사진기사 겸 봉사자로 놀러가고 싶음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s avatar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

@kodingwarrior@silicon.moe

해커스펍 DAU 50 가보자고

Jaeyeol Lee's avatar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뉴욕 어딘가에는 컴파일러/DB/웹브라우저 등등 인터널을 까보면서 얘기하는 소셜클럽이 있다. 완전 비슷하게는 아니더라도 해커스펍을 중심으로 밋업을 하는것도 괜찮을지도? 밋업에 참여하는 외부인이 오면 초대장도 그때그때 발급해주는식으로 가고

https://eatonphil.com/nyc-systems-coffee-club.html

Alternative_Talk :twitter__verified:'s avatar
Alternative_Talk :twitter__verified:

@alternative@uri.life

잘하면 해커스펍이 연내에 규모로는 국내 서버 인원 10위 안에 들어갈 듯? 어쩌면 5위까지도...?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s avatar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

@kodingwarrior@silicon.moe

북적북적 해커스펍

Alternative_Talk :twitter__verified:'s avatar
Alternative_Talk :twitter__verified:

@alternative@uri.life

여기서 해커스펍 분들 다 팔로우함 ㅋㅋㅋㅋㅋㅋ

아덴 :ablobcatnomcookie:'s avatar
아덴 :ablobcatnomcookie:

@A_den1126@stella.place

뭐야 해커스펍 마스토돈인 줄 알았는데 아니구나 자체 소프트웨어인건가요

Lee Dogeon's avatar
Lee Dogeon

@moreal@hackers.pub

Warning

제목이 적절한지 잘 모르겠다. 본문은 Mastodon에 있는 Content Warnings이라는 것이 ActivityPub Activity 객체에서 어떻게 묘사되는지 확인하는 내용이다.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다.

서문 (동기)

Mastodon에서 글을 쓸 때 Content Warnings을 자주 쓰는데:

  1. 내가 쓰는 글이 어떤 사람에게는 기분 상할 글일 수도 있을까 하는 걱정도 있고,
  2. 혼자 말을 자주 적는데 소음같이 느껴져서 보고 싶지 않을 사람도 있을까 싶어서 "혼자 말" 같은 경고문을 달고 적어놓는다.

요즘은 "혼자 말" 대신 요약을 좀 적어놓는 편인 것 같다. 그런데 Mastodon에서 글을 적으면 몇 글자 더 적을 수 있는지, 글자 수 제한을 표시해준다. Content Warnings을 적는데도 글자 수 제한이 줄어드는 것을 보고 본문과 Content Warnings가 같은 필드에 있는 걸까 그런 궁금증이 들었다. 어떻게 생겼는지 보고 글을 적고 있는 지금 다시 생각하면, 조금 잘못된(?) 상상이었던 것 같지만 암튼 그랬다.

본문

Activity 객체 읽어오기

내가 적은 글의 Activity 객체 버전을 확인해보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 싶던 중, @hongminhee 님이 만드신 Fedify에서 제공하는 CLI 도구에 관련 기능이 있었던 것 같아 살펴보니 fedify lookup이라는 명령어가 있었다.

사용법은 아래와 같이 인자로 글 URL을 넘겨주면 됐다.

fedify lookup https://social.silicon.moe/@moreal/114252336335817713

그러면 아래와 같이 Activity 객체 내용을 보여준다:

$ fedify lookup https://social.silicon.moe/@moreal/114252336335817713
✔ Fetched object: https://social.silicon.moe/@moreal/114252336335817713.
Note {
  id: URL "https://social.silicon.moe/users/moreal/statuses/114252336335817713",
  attribution: URL "https://social.silicon.moe/users/moreal",
  contents: [ "<p>본문</p>", <ko> "<p>본문</p>" ],
  published: 2025-03-30T16:31:40Z,
  replies: Collection {
    id: URL "https://social.silicon.moe/users/moreal/statuses/114252336335817713/replies",
    first: CollectionPage {
      partOf: URL "https://social.silicon.moe/users/moreal/statuses/114252336335817713/replies",
      next: URL "https://social.silicon.moe/users/moreal/statuses/114252336335817713/replies?only_other_accounts=true&page=true"
    }
  },
  shares: Collection {
    id: URL "https://social.silicon.moe/users/moreal/statuses/114252336335817713/shares",
    totalItems: 0
  },
  likes: Collection {
    id: URL "https://social.silicon.moe/users/moreal/statuses/114252336335817713/likes",
    totalItems: 0
  },
  summary: "Content Warning 테스트",
  url: URL "https://social.silicon.moe/@moreal/114252336335817713",
  to: URL "https://social.silicon.moe/users/moreal/followers",
  cc: URL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Public",
  sensitive: true
}
✔ Successfully fetched the object.

Activity 객체 이해하기

"Content Warnings"에 넣었던 Content Warning 테스트라는 문구는 summary 필드에 들어있었다.

summary 필드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서 ActivityPub 문서에 들어갔다. "Note"를 키워드로 검색해보니 아래 같은 예제를 발견했다:

{"@context":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type": "Note",
 "to": ["https://chatty.example/ben/"],
 "attributedTo": "https://social.example/alyssa/",
 "content": "Say, did you finish reading that book I lent you?"}

예전에 Fedify에 기여할 때 기억으로는 Activity가 JSON-LD 포맷으로 표현되므로 스키마를 확인하고자 @context 필드의 링크로 들어갔다. 그렇게 타고 들어가서 Note의 정의를 발견했는데 Object를 상속하였고, 상속받은 것 외에 자신만의 필드는 없어 보였다.

링크를 또 타고 들어가 summary의 정의를 볼 수 있었다. 설명은 아래와 같다:

A natural language summarization of the object encoded as HTML. Multiple language tagged summaries MAY be provided.

HTML로 스타일링할 수도 있고, 여러 언어별로 요약을 제공할 수도 있다고 한다. 아래 JSON은 문서에 있는 예제인데, 영어(en)와 스페인어(es), 중국어 간체(zh-Hans) 언어마다 요약을 각각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
  "@context":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name": "Cane Sugar Processing",
  "type": "Note",
  "summaryMap": {
    "en": "A simple <em>note</em>",
    "es": "Una <em>nota</em> sencilla",
    "zh-Hans": "一段<em>简单的</em>笔记"
  }
}

결론

  • Content Warnings에 요약을 적는 건 적절한 용례이다! (?)
    • +) 댓글로 달아주셔서 알게된 놓친 부분인데, Content Warnings를 쓰면 as:sensitive 확장 속성도 같이 추가되어서 Mastodon에서 Content Warnings를 요약으로 쓰는 것이 마냥 맞는 용례는 아닌 것 같다.
  •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언어로 작성하면, 애플리케이션 단에서 다른 요약들도 번역해서 자동으로 채워줄 수도 있겠다. (읽는 쪽에서 번역하는 게 나으려나)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벌려 놓은 일들:

  • Fedify
  • Hollo
  • BotKit
  • LogTape
  • Hackers' Pub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그러고 보니 BotKit도 손 좀 봐야 하는데…

Fedify: an ActivityPub server framework's avatar
Fedify: an ActivityPub server framework

@fedify@hollo.social

We're excited to announce the release of Fedify 1.5.0! This version brings several significant improvements to performance, configurability, and developer experience. Let's dive into what's new:

Two-Stage Fan-out Architecture for Efficient Activity Delivery

now implements a smart fan-out mechanism for delivering activities to large audiences. This change is particularly valuable for accounts with many followers. When sending activities to many recipients, Fedify now creates a single consolidated message containing the activity payload and recipient list, which a background worker then processes to re-enqueue individual delivery tasks.

This architectural improvement delivers several benefits: Context.sendActivity() returns almost instantly even with thousands of recipients, memory consumption is dramatically reduced by avoiding payload duplication, UI responsiveness improves since web requests complete quickly, and the system maintains reliability with independent retry logic for each delivery.

For specific requirements, we've added a new fanout option with three settings:

// Configuring fan-out behavior
await ctx.sendActivity(
  { identifier: "alice" },
  recipients,
  activity,
  { fanout: "auto" }  // Default: automatic based on recipient count
  // Other options: "skip" (never use fan-out) or "force" (always use fan-out)
);

Canonical Origin Support for Multi-Domain Setups

You can now explicitly configure a canonical origin for your server, which is especially useful for multi-domain setups. This feature allows you to set different domains for WebFinger handles and URIs, configured through the new origin option in createFederation(). This enhancement prevents unexpected URL construction when requests bypass proxies and improves security by ensuring consistent domain usage.

const federation = createFederation({
  // Use example.com for handles but ap.example.com for ActivityPub URIs
  origin: {
    handleHost: "example.com",
    webOrigin: "https://ap.example.com",
  },
  // Other options...
});

Optional Followers Collection Synchronization

Followers collection synchronization (FEP-8fcf) is now opt-in rather than automatic. This feature must now be explicitly enabled through the syncCollection option, giving developers more control over when to include followers collection digests. This change improves network efficiency by reducing unnecessary synchronization traffic.

await ctx.sendActivity(
  { identifier: sender },
  "followers",
  activity,
  { 
    preferSharedInbox: true,
    syncCollection: true,  // Explicitly enable collection synchronization
  }
);

Enhanced Key Format Compatibility

Key format support has been expanded for better interoperability. Fedify now accepts PEM-PKCS format in addition to PEM-SPKI for RSA public keys. We've added importPkcs1() and importPem() functions for additional flexibility, which improves compatibility with a wider range of ActivityPub implementations.

Improved Key Selection Logic

The key selection process is now more intelligent. The fetchKey() function can now select the public key of an actor if keyId has no fragment and the actor has only one public key. This enhancement simplifies key handling in common scenarios and provides better compatibility with implementations that don't specify fragment identifiers.

New Authorization Options

Authorization handling has been enhanced with new options for the RequestContext.getSignedKey() and getSignedKeyOwner() methods. This provides more flexible control ov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lows. We've deprecated older parameter-based approaches in favor of the more flexible method-based approach.

Efficient Bulk Message Queueing

Message queue performance is improved with bulk operations. We've added an optional enqueueMany() method to the MessageQueue interface, enabling efficient queueing of multiple messages in a single operation. This reduces overhead when processing batches of activities. All our message queue implementations have been updated to support this new operation:

If you're using any of these packages, make sure to update them alongside Fedify to take advantage of the more efficient bulk message queueing.

CLI Improvements

The Fedify command-line tools have been enhanced with an improved web interface for the fedify inbox command. We've added the Fedify logo with the cute dinosaur at the top of the page and made it easier to copy the fediverse handle of the ephemeral actor. We've also fixed issues with the web interface when installed via deno install from JSR.

Additional Improvements and Bug Fixes

  • Updated dependencies, including @js-temporal/polyfill to 0.5.0 for Node.js and Bun
  • Fixed bundler errors with uri-template-router on Rollup
  • Improved error handling and logging for document loader when KV store operations fail
  • Added more log messages using the LogTape library
  • Internalized the multibase package for better maintenance and compatibility

For the complete list of changes, please refer to the changelog.

To update to Fedify 1.5.0, run:

# For Deno
deno add jsr:@fedify/fedify@1.5.0

# For npm
npm  add     @fedify/fedify@1.5.0

# For Bun
bun  add     @fedify/fedify@1.5.0

Thank you to all contributors who helped make this release possible!

염산하

@ysh@social.long-echo.net

해커스 펍이 왕성한 이 때, 혼자 조용히 저는 @hollo 가 좋아요 ㅎㅎ

AK's avatar
AK

@ak@hackers.pub

AI가 생성한 내용을 내 지식관리시스템(위키 등)에 복붙하면 그건 내 지식일까 아닐까?

2008년 경에 The extended mind (1998, Andy Clark and David Chalmers)라는 짧은 에세이를 읽었는데 여기서 본 내용이 참고할만 하다.

저자들은 장기기억 상실을 앓고 있는 사람이 수첩에 모든 걸 기록하고 항상 이를 참고한다면 그 수첩에 담긴 글들은 "확장된 기억"이라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서, 수첩의 내용이 단순히 "기억"이 아니라 "믿음extended dispositional belief"이기 위해서 필요한 기준을 추가로 제시한다.

  1. 해당 정보가 그 사람의 삶에 항상 함께하며 참고해야하는 상황이 오면 거의 반드시 참고하여 행동한다.
  2. 참고하고 싶을 때 어려움 없이 참고할 수 있어야 한다.
  3. 일단 그 정보를 참고하면 이를 의심없이 수용한다.
  4. 그 정보가 거기에 담긴 이유는 과거 언젠가 내가 내용을 신뢰했기 때문이다.

AI가 생성한 내용을 검토 없이 복붙했다면 이는 4번을 만족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3번에도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검토 없는 복붙은 좋은 전략이 아닐 뿐 아니라 내 지식관리시스템을 망칠 가능성이 크다.

참고로 에세이의 저자들은 이 중 마지막 기준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말하긴 한다. 무의식적으로 믿음이 형성되는 경우, 기억 조작이 일어난 경우 등이 있기 때문. 그런데 KMS 맥락에선 4번이 중요하다고 봐도 되겠다.

xenon's avatar
xenon

@xenon@xenon.social

New version of xenon client 0.0.1.14 is now available! Now we can upload image too :ablobaww:

supadupa kodingwarrior's avatar
supadupa kodingwarrior

@kokoko_kojima_@threads.net

개발자를 위한 블로깅 서비스이자, velog를 대체할 수도 있는 플랫폼인 Hackers Pub에 입문하는 분들을 위한 가이드를 작성했습니다.
혹시 관심있는 분들은 인스타 DM으로 이메일 알려주시면 초대장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hackers.pub/@kodingwarrior/2025/guide-to-hackerspub-for-korean-users

Jaeyeol Lee's avatar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 Reply to Jaeyeol Lee's post

페디버스 계정의 URL을 검색창에 입력하면 Hackers' Pub에서도 다른 인스턴스의 계정을 팔로할 수 있답니다!

페디버스의 URL을 입력해서 다른 계정의 프로필 화면으로 진입이 됨
ALT text details페디버스의 URL을 입력해서 다른 계정의 프로필 화면으로 진입이 됨
Jaeyeol Lee's avatar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Hackers' Pub을 포함하여 페디버스에 입문한 여러분 중 누군가는 막막한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특히 지인의 Pool이 없는 상황이거나 혹은 Fediverse라는 개념 자체가 낯설 수록이요.

먼저 인스턴스라는 개념도 낯설게 느껴지거니와, 어떤 사람을 팔로할 지도 아예 생태계에 쌩으로 입문하는 입장에서는 시작을 하는 것 자체가 난해합니다.

Hackers' Pub을 포함한 ActivityPub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서비스들의 장점은 Bluesky, Mastodon, Misskey 어디에든 걸쳐있는 사람들과 하나로 연결되는 경험을 누릴 수 있다고 언급한 적은 있었습니다만, 이러한 장점을 어떻게 누릴 수 있는지도 알기는 어려울 겁니다.

보통은 트위터나 혹은 다른 알고리즘 기반의 추천을 해주는 여러 서비스들은 좋아하는지 취향에 맞는지와는 상관없이 일단 추천하긴 하지만, 페디버스는 국내 생태계 한정으로는 추천을 하기가 쉽지 않은 것 또한 사실이긴 합니다. 하지만, 해외개발자 Pool은 굉장히 넓은 것이 자명합니다. 물론, 이것도 역시 추천을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혹시 단골로 찾아보는 개발자 블로그가 있다면 Mastodon 계정이 보이는 경우를 최소 두 자릿수는 준하게 보실 수 있을 것이긴 합니다.

아무튼, 페디버스 생태계에도 소프트웨어 종사자인 여러분이 읽을만한 피드는 준비되어 있습니다. 팔로해볼 수 있는 여러 계정들을 예시로 들어서 소개해볼까 합니다.

개발자들이 모여있는 인스턴스

어떤 마스토돈 인스턴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는 **여기**에도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마스토돈 인스턴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

  • silicon.moe -- 이공계열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한국어권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 Hackers' Pub -- 개발자를 위한 블로깅 서비스입니다. ActivityPub 프로토콜을 지원하여서 ActivityPub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페디버스에서 구독이 가능합니다.

해외

  • hachyderm.io -- IT 업계 종사자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대부분의 유명한 개발자들이 여기에 몰려있다고 봐도 됩니다.
  • emacs.ch -- Emacs 에디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 functional.cafe -- 함수형 개발자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 genserver.social -- Erlang/Elixir 개발자를 위한 Akkoma 인스턴스입니다.
  • ruby.social -- Ruby 개발자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 mtd.pythonasia.org -- 아시아권의 Python 개발자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 fosstodon.org -- 오픈소스 개발자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Python Software Foundation, Libre Office 등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공식계정들이 많이 있습니다.
  • hci.social -- HCI 연구자들을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Princeton HCI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vt.social -- 개발 분야 버츄얼 유튜버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Asahi Lina, Luna가 공동 운영하고 있습니다.

Who to follow

Twitter/Threads에서는 자체적인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어떤 계정을 팔로하면 괜찮을지 제안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마스토돈은 그런 기능 쪽으로는 미비하다시피합니다.

개발 관련 정보를 구독하고 싶은 분들의 입장에서는 굉장히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어떤 개발자에게든 팔로할 것을 권장하는 계정들을 소개합니다.

개발 관련 뉴스

  • Geeknews Bot -- GeekNews의 피드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 Hackernews
    • Hacker News 500 -- Hacker News 에서 500 포인트 받은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 Hacker News 100 -- Hacker News 에서 100 포인트 받은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 Hacker News 50 -- Hacker News 에서 50 포인트 받은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 Lobsters -- Lobsters는 Hacker News 보다는 좀 더 소프트웨어 개발/컴퓨터 사이언스에 초점이 맞춰진 글들이 올라옵니다.
    • Twitter 공식 계정도 있었지만, 트위터의 Bot 관련 정책 변경으로 인해 2023년 5월 3일부로 운영이 중단되었습니다.
  • discu.eu Weekly newsletter - 각종 분야별로 newsletter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 컨트리뷰터

  • Hong minhee -- Hackers' Pub, Hollo, Fedify 등 v페디버스 생태계에서 다양하고 재밌는 것들을 개발하고 계시는 분입니다.
  • Eugen Rochko -- Mastodon 코어 컨트리뷰터입니다.
  • Rob Pike -- Golang을 개발하신 그 분 맞습니다.
  • Asahi Lina -- Asahi Linux에 기여하는 모습을 생중계하는 버츄얼 유튜버입니다.
  • b0rks -- 개발자를 위한 N컷 만화를 연재하는 분입니다. Make Hard Things Easy라는 강연도 유명하니 한번씩은 보시는걸 권장합니다.

그 외에는...?

그 외에도, 관심이 가는 분야가 있으시다면 해당 분야 쪽 사람들이 모여있는 인스턴스를 눈여겨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팔로우할 계정을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찾으신다면 이것도 고려해보세요! (추천해주신 @rghw님 감사합니다.)

그 외에도 팔로할만한 계정이나 눈여겨볼만한 인스턴스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여러분들의 댓글이 처음 입문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Alternative_Talk :twitter__verified:'s post

@alternative 제가 배포하다 터뜨렸습니다. 이제 다시 살렸습니다…

← Newer
Old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