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898 following · 1114 followers

An intersectionalist, feminist, and socialist guy living in Seoul (UTC+09:00). @tokolovesme's spouse. Who's behind @fedify, @hollo, and @botkit. Write some free software in , , , & . They/them.

서울에 사는 交叉女性主義者이자 社會主義者. 金剛兔(@tokolovesme)의 配偶者. @fedify, @hollo, @botkit 메인테이너. , , , 等으로 自由 소프트웨어 만듦.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Hello, I'm an open source software engineer in my late 30s living in , , and an avid advocate of and the .

I'm the creator of @fedify, an server framework in , @hollo, an ActivityPub-enabled microblogging software for single users, and @botkit, a simple ActivityPub bot framework.

I'm also very interested in East Asian languages (so-called ) and . Feel free to talk to me in , (), or (), or even in Literary Chinese (,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安寧(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에 살고 있는 30() 後半(후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며, 自由(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聯合宇宙(연합우주)(fediverse)의 熱烈(열렬)支持者(지지자)입니다.

저는 TypeScript() ActivityPub 서버 프레임워크인 @fedify 프로젝트와 싱글 유저() ActivityPub 마이크로블로그인 @hollo 프로젝트와 ActivityPub 봇 프레임워크인 @botkit 프로젝트의 製作者(제작자)이기도 합니다.

저는 ()아시아 言語(언어)(이른바 )와 유니코드에도 關心(관심)이 많습니다. 聯合宇宙(연합우주)에서는 國漢文混用體(국한문 혼용체)를 쓰고 있어요! 제게 韓國語(한국어)英語(영어), 日本語(일본어)로 말을 걸어주세요. (아니면, 漢文(한문)으로도!)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こんにちは、私はソウルに住んでいる30代後半のオープンソースソフトウェアエンジニアで、自由・オープンソースソフトウェアとフェディバースの熱烈な支持者です。名前は洪 民憙ホン・ミンヒです。

私はTypeScript用のActivityPubサーバーフレームワークである「@fedify」と、ActivityPubをサポートする1人用マイクロブログである 「@hollo」と、ActivityPubのボットを作成する為のシンプルなフレームワークである「@botkit」の作者でもあります。

私は東アジア言語(いわゆるCJK)とUnicodeにも興味が多いです。日本語、英語、韓国語で話しかけてください。(または、漢文でも!)

Esurio's avatar
Esurio

@esurio1673@c.koliosky.com

iOS持ってないので泥ではMoshidon使ってNightfox DAWNはMacbookから使ってる

Simon Park's avatar
Simon Park

@parksb@silicon.moe

해커스펍에 사람이 많아지면서 오늘 점심쯤 마스토돈 들어왔더니 피드에 새 글이 80개 정도 쌓여있었다. 눈물이 날 뻔했다...

^Kur0den\d{4}$ :irai_houki_tyuu:'s avatar
^Kur0den\d{4}$ :irai_houki_tyuu:

@kur0den0010@chpk.kur0den.net

holloフォークできないかなとか考えてたり

Esurio's avatar
Esurio

@esurio1673@c.koliosky.com · Reply to Esurio's post

:blobcatpnd_dame:

Esurio's avatar
Esurio

@esurio1673@c.koliosky.com

みんなHollo建てるときは私のブログじゃなくて公式ドキュメント読もうね!!!

Esurio's avatar
Esurio

@esurio1673@c.koliosky.com

Holloいいよ ご飯の画像しかあげてないけど

^Kur0den\d{4}$ :irai_houki_tyuu:'s avatar
^Kur0den\d{4}$ :irai_houki_tyuu:

@kur0den0010@chpk.kur0den.net

holloに引っ越すか…?

古道京紗's avatar
古道京紗

@schwarzewald@mivatter.com

最近はHolloってお一人様向け特化のActivityPub実装もあるらしい 絵文字も使えてmisskeyとかより低スペックでも動くとかなんとか(建てたことないので詳しく知らない https://docs.hollo.social/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ActivityPub 확장으로 Mastodon이 제안한 팔로워 컬렉션 동기화 매커니즘(FEP-8fcf)이 있는데, Fedify도 물론 이걸 구현하고 있다. 그런데 Ghost[1] 쪽에서 이거 때문에 글 한 번 올리고 나면 팔로워가 800명씩 언팔하는 것 같다는 거다. 음… 그게 사실이라면 Fedify의 버그가 맞는데, 그래서 어제부터 줄곧 살펴보고 있지만 도저히 문제를 못 찾겠는 상황. 메틸페니데이트 약발도 슬슬 다 떨어진 것 같아서, 오늘도 어쩐지 원인을 못 찾을 것 같다. 근데, 이거 Fedify 버그 맞긴 할까? 😭


  1. Ghost는 ActivityPub 구현에 Fedify를 활용하고 있다.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Juntai Park's post

@arkjun 나중에 여유 생기면 장난처럼 한 번 넣어볼까 싶네요. 아니면 만우절을 기해…!?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_minhee@threads.net

요즘 Hackers' Pub이라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커뮤니티를 만들고 있습니다. 마치 velog처럼 블로그이기도 하면서, Threads처럼 마이크로블로그이기도 합니다. ActivityPub을 지원하기 때문에, Threads나 Mastodon 같은 다른 SNS와도 교류도 가능합니다.

댓글이나 DM으로 이메일 주소 알려주시면 초대할게요!

https://hackers.pub/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Hackers' Pub에 ko-Kore (國漢文混用(국한문 혼용)) 飜譯(번역) 파일 넣는 想像(상상)

Fedify: an ActivityPub server framework's avatar
Fedify: an ActivityPub server framework

@fedify@hollo.social

Excited to see the ( Linux Users Group) in organizing a reading club for our Creating your own federated microblog tutorial! 🎉 Their first session is coming up, where participants will work through creating their own -compatible microblog using . Thanks for spreading the word about Fedify in Japan! :fedify: 🇯🇵

Check out their event on Connpass!

https://msky.ospn.jp/notes/a5re87hzi7s80062

Fediverse Linux Users Group's avatar
Fediverse Linux Users Group

@fedilug@msky.ospn.jp

【輪読会試験開催のお知らせ】
本日、
​:fedilug:​ 輪読会📖第0弾として
「〜自分でActivityPub対応SNSを作ってみよう〜『自分だけのフェディバースのマイクロブログを作ろう!』輪読会」
https://github.com/dahlia/fedify-microblog-tutorial-ja

を行います!申し込みは以下からできます!ぜひ参加してフィードバックをください!!
https://fedilug.connpass.com/event/348240/

(dan)iel (sup)ernault's avatar
(dan)iel (sup)ernault

@dansup@mastodon.social

A new FediDB era, with an open source fresh coat of paint, is soon upon us ✨

New FediDB preview
ALT text detailsNew FediDB preview
New FediDB preview
ALT text detailsNew FediDB preview
New FediDB preview
ALT text detailsNew FediDB preview
KAGAMI🏳️‍🌈🏳️‍⚧️'s avatar
KAGAMI🏳️‍🌈🏳️‍⚧️

@saschanaz@sekai.social · Reply to Alternative_Talk :twitter__verified:'s post

@alternative@uri.life 플랫폼간 이주를 하면 네트워크를 버리고 떠나야 하니까 힘들죠, 그런 면에서 연합우주 같은 방식이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yamanoku's post

@yamanoku 韓国ではBunとSvelteを使う事でよく知られているPENXLEという企業が有りますが、珍しくも製品のソースコードを全て公開する事でよく知られているので、参考になります。

uki's avatar
uki

@noholeatcrotch@fedibird.com

韓国にある Outback Steakhouse というレストランの有名な Toowoomba Pasta という料理が美味しいらしいが高価なため、それを安価で再現すべく、 YouTube が主戦場の料理家達が研究してできた、 OTTOGI の Jin Ramen を用いた Toowoomba Ramen (料理家の一人で emmymade というチャンネルの人が作ったもの) が大変よかったそうで、その人気を受けて四年前に農心が Toomba 味(なぜスペルを変えたのかが不明とのこと。法的な問題か?)の辛ラーメンを出したのを受けて、このお兄さんが今回それを味見するという話。Outback はオーストラリアの荒野を指し、 Toowoomba はオーストラリア東海岸の地名。
youtube.com/watch?si=O3xdba1g2

유루메 Yurume's avatar
유루메 Yurume

@yurume@hackers.pub

블루스카이를 연합우주보다 먼저 썼고, 해커뉴스에서 관련 주장에 대해서 꽤 싸우기도 한 입장에서 민희님의 글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일 수 있지만, 연합우주의 대안은 아닙니다〉에 대한 반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의견이 연합우주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이 아니라는 것을 의견을 제시하기에 앞서 확실히 해 둔다(그랬다면 Hackers' Pub에 들어 올 일이 없었겠지).

탈중앙화는 매력적인 개념임이 틀림 없다. 인터넷의 많은 중요한 요소들이 어느 정도 탈중앙화되어 있으므로 탈중앙화가 인터넷의 장점들에 큰 몫을 했다는 생각을 쉬이 할 수 있고, 어느 정도는 그게 사실이기도 하니까.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탈중앙화는 기술적인 특징이지 그 자체로 장점이 아니며, 탈중앙화가 장점으로 작용하려면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이를테면 비트코인을 위시한 암호화폐는 본디 비잔틴 실패까지 대비할 수 있는 강력한 탈중앙화를 장점으로 내세웠으나, 결국 화폐로서 제대로 사용되기 시작하자 현실 경제와의 커플링 때문에 그 "장점"이 크게 희석되고 말았다. 현 시점에서 암호화폐는 무에서 유의 신뢰를 창조하여 신용화폐의 요건을 충족하는 데까지는 성공했고 그것만으로도 역사적인 일이기는 하지만, 그게 탈중앙화랑 무슨 상관이 있느냐 하면 글쎄올시다.

블루스카이가 연합우주보다 덜 탈중앙화되어 있음은 분명하다. 민희님의 글에서 지적되었듯, 블루스카이가 이런 선택을 한 가장 큰 이유는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 기능을 위해 전역 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말하면 연합우주는 더 탈중앙화를 하기 위하여 전역 뷰를 포기했는데, 이 때문에 연합우주에서의 "소셜 네트워크"는 트위터/X와는 구조가 크게 다르다. 노드 규모가 문턱값에 다다르지 못하면 다른 노드에 있는 사용자를 찾아서 팔로해야만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데, 연합우주 안에서는 이런 외부 사용자를 찾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물론 인터넷과 똑같이 검색 엔진이 존재할 수야 있겠지만, 크롤링으로 인한 부하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의견 차이 때문에 현실적으로 작동하는 연합우주 내 검색 엔진은 없다고 알고 있다. 따라서 연합우주에서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은 연합우주 바깥의, 보통은 중앙화되어 있는, 다른 소셜 네트워크(이를테면 현실 인간 관계)를 빌어야만 하는데, 이러면 탈중앙화가 큰 가치가 있을까?

한편으로는 전역 뷰가 소셜 네트워크의 단점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트위터/X를 오래 써 본 사람이라면 다 알겠지만 한 무리의 사람들이 다른 의견을 가진 무리와 충돌하는 주된 통로는 검색이나 해시태그를 통한 노출, 즉 전역 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의 규모 있는 연합우주 노드들을 살펴 보면 각 노드가 곧 한 무리에 대응하는 식으로 충돌을 미리 회피하는 형태로 구성되지, 딱히 이런 충돌을 막기 위한 접근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드 운영자를 위해 차단하는 걸 추천하는 서버 목록 같은 게 돌아다니는 건 연합우주 바깥의 일이지 않는가. 결국 전역 뷰의 역할을 대체하는 소셜 네트워크 바깥의 또 다른 소셜 네트워크가 존재할 것이기에, 우리가 소셜 네트워크를 어떤 이유로든 유용하다고 여긴다면 전역 뷰가 없는 게 장점이 될 수는 없다.

모든 이들이 이런 사고 과정을 가지고 블루스카이나 연합우주를 선택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적어도 현 시점에서 사용자들은 블루스카이(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약 3360만명)를 연합우주(FediDBFediverse.party로부터 추정할 때 최대 1530만명)보다 선호하는 것은 틀림이 없다. 게다가 블루스카이의 규모는 최근 1년 사이에 10배 불어난 것이고, 조금 장애가 있었지만 현재는 잘 동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위의 논의와 결합해 보면, 블루스카이는 정석적인 스케일링에 성공하고 있는 반면 연합우주는 스케일링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을 포기했다고 볼 수도 있는 대목이다. 블루스카이가 못미더운 부분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연합우주가 더 좋은 소셜 네트워크 경험을 제공한다고 가정하고 블루스카이의 단점을 제시할 수는 없다. 마치 암호화폐를 논할 때 장점만 말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RE: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bluesky-a-good-alternative-to-x-not-to-the-fediverse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최근 X(구 Twitter)를 떠나는 사람들이 늘면서 Bluesky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Bluesky는 깔끔한 인터페이스와 과거 Twitter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신뢰할 수 있는 이탈(credible exit)이라는 매력적인 개념을 내세워 X의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Bluesky와 그 기반 프로토콜인 AT Protocol을 연합우주(fediverse)의 대안으로 보기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Christine Lemmer-Webber 씨(@cwebber)의 날카로운 분석(〈Bluesky는 실제로 얼마나 탈중앙화 되어 있나〉 및 〈답장: 답장: Bluesky와 탈중앙화〉)을 바탕으로, Bryan Newbold 씨(@bnewbold)의 반론(〈Bluesky와 탈중앙화에 대한 답변〉)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Bluesky가 어째서 X의 대안은 될 수 있어도 연합우주의 대안은 될 수 없는지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메시지 전달 對 공유 힙: 근본적인 설계 차이

Bluesky와 연합우주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설계입니다. 연합우주는 이메일이나 XMPP와 유사한 메시지 전달(message passing)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특정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직접 전달하는 방식으로, 효율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수많은 서버 중 단 몇 곳의 사용자만 특정 메시지에 관심을 있다면 해당 서버에만 메시지를 전달하면 됩니다. 비유하자면, 철수가 영희에게 편지를 보내려면 직접 영희의 집으로 편지를 보내고, 영희가 회신하고 싶으면 직접 철수에게 회신하는 것과 같은 방식입니다.

반면, Bluesky는 공유 힙(shared heap)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메시지를 특정 수신자에게 직접 보내는 대신, 모든 메시지를 중앙의 “릴레이”라는 곳에 저장하고, 관심 있는 사용자가 릴레이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필터링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마치 모든 편지가 하나의 거대한 우체국(릴레이)에 쌓이고, 각자가 이 우체국에 방문하여 자신에게 관련된 편지를 직접 찾아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런 방식에서는 메시지가 직접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답글이 어떤 메시지에 대한 것인지 파악하려면 모든 가능한 메시지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 설계는 데이터와 색인을 분리하여 유연성을 제공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필연적으로 대규모 중앙 집권화된 릴레이에 의존하게 되어 탈중앙화의 이상과는 거리가 멀어진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결국 Bluesky가 공유 힙 방식을 채택하고 중앙 집권화된 릴레이에 의존하게 되는 데에는 운영 비용이라는 현실적인 이유가 크게 작용합니다. Christine Lemmer-Webber 씨의 분석에 따르면, Bluesky에서 전체 네트워크 기록을 저장하는 릴레이를 운영하는 데에는 상당한 스토리지를 요구하며, 이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7월에는 약 1TB의 저장 공간이 필요했지만, 불과 4개월 후인 11월에는 약 5TB로 증가했습니다. 상업용 호스팅 서비스 기준으로 이는 연간 수만 달러(약 $55,000)에 달하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연합우주에서는 개인이나 소규모 단체가 Raspberry Pi와 같은 저렴한 장비로도 GoToSocial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독립적인 노드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물론 대규모 연합우주 인스턴스는 더 많은 비용이 들겠지만, Bluesky의 전체 릴레이 운영 비용과는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저렴합니다. 이처럼 운영 비용의 현격한 차이는 Bluesky가 분산된 구조를 채택하기 어렵게 만들고, 결국 중앙 집권화된 릴레이에 의존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역 뷰에 대한 집착과 중앙 집권화의 심화

Bluesky는 댓글 누락과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네트워크 전체의 일관된 전역 뷰를 유지하는 데 집중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목표는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긍정적일 수 있지만, 필연적으로 중앙 집권화를 야기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차단 목록의 전체 공개입니다. 네트워크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누가 누구를 차단했는지 모든 앱뷰가 알아야 하므로, 차단 정보가 공개되는 것입니다.

이는 개인 정보 보호 측면에서 심각한 우려를 낳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누군가의 게시물을 보고 차단된 사람을 추측하는 것과, 네트워크에 “J. K. Rowling[1]을 차단한 모든 사람”을 직접 질의할 수 있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실제로 ActivityPub 개발 과정에서는 이런 문제를 고려하여 서버 간에 차단 활동을 전달하지 않도록 명시적으로 설계했습니다. 이는 차단한 사람이 차단당한 사람의 보복을 받을 위험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반면 연합우주에서는 각 서버가 독립적으로 차단 정책을 시행하며, 사용자에게 더 많은 자율성을 제공합니다.

AT Protocol과 개방형 표준으로서의 ActivityPub

연합우주의 핵심 프로토콜인 ActivityPub은 W3C의 채택 권고안으로, 개방형 표준입니다. 이는 누구나 자유롭게 구현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합니다. 현재 페디버스 커뮤니티는 FEP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프로토콜을 개선하고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반면, Bluesky의 AT Protocol은 아직 특정 사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개방형 표준으로서의 지위는 아직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페디버스가 가진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중요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M의 중앙화

Bluesky는 콘텐츠 주소 지정이나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와 같은 탈중앙화 요소를 도입했지만, DM은 완전히 중앙화되어 있습니다. 사용자가 어떤 PDS를 사용하든, 어떤 릴레이를 사용하든 상관없이 모든 DM은 Bluesky 회사를 통해 전송됩니다.

이는 Bluesky가 아직 기능적으로 완전한 Twitter 대체품이 되기 위해 속도를 우선시했다는 증거입니다. Bluesky는 이 DM 시스템이 장기적인 솔루션이 아니라고 밝혔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DM도 AT Protocol의 다른 기능처럼 작동한다고 가정합니다.

이러한 중앙화된 DM 구현은 “신뢰할 수 있는 이탈”이라는 Bluesky의 핵심 가치와도 모순됩니다. 만약 Bluesky社가 적대적인 인수나 정책 변경을 겪게 된다면, 사용자들의 개인 대화는 완전히 회사의 통제 하에 남게 됩니다.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와 DID: Bluesky 방식의 한계

Bluesky는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portable identity)를 핵심적인 장점 중 하나로 내세우며, 이를 위해 DIDs, 즉 분산 식별자를 활용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과 데이터를 다른 플랫폼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Christine Lemmer-Webber는 AT Protocol이 채택한 did:webdid:plc 방식이 여전히 DNS와 Bluesky社가 관리하는 중앙 집권화된 PLC 레지스트리에 의존하고 있어 완전한 사용자 통제하의 독립적인 아이덴티티를 제공하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

더 놀라운 점은 Bluesky社가 초기에 모든 계정에 대해 동일한 rotationKeys를 사용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클라우드 HSM 제품이 키별로 비용을 청구해서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키를 제공하는 것이 금전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DIDs 시스템을 구축하는 근본적인 목표와 모순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요한 점은 DIDs 기술 자체가 탈중앙화된 아이덴티티를 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Bluesky와 AT Protocol이 채택한 특정 방식이 중앙 집권화된 요소에 의존한다는 것입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DIDs와 같은 진정으로 탈중앙화된 방식도 존재하지만, AT Protocol은 비교적 구현이 쉬운 did:webdid:plc를 선택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Bluesky 생태계를 벗어나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완전히 독립적으로 관리하고자 할 때 제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시스템에서는 Bluesky社가 사용자의 키를 대신 관리하고 있어, 사용자가 현재는 Bluesky社를 신뢰하더라도 미래에 신뢰하지 않게 된 경우에도 여전히 회사에 의존해야 합니다. Bluesky社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이동을 수행하도록 신뢰해야 하며, 심지어 Bluesky社가 사용자에게 향후 신원 정보를 제어할 권한을 위임하더라도 Bluesky社는 항상 해당 사용자의 키를 통제할 것입니다.

한편, 연합우주에서는 이미 노마딕 아이덴티티(nomadic identity)라는 개념을 통해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습니다. 이는 단순히 계정을 이전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데이터와 관계, 심지어 평판까지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더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We Distribute》에 실린 기사 〈오, Zot! ActivityPub에 노마딕 아이덴티티가 도입된다〉에 소개된 Zot 프로토콜과 같은 기술은 이미 연합우주 안에서 이러한 노마딕 아이덴티티를 구현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FEP-ef61와 같은 제안을 통해 ActivityPub 자체를 개선하여 더 나은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 기능을 추가하려는 노력도 진행 중입니다.

그래서, 결론은?

결론적으로, Bluesky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신뢰할 수 있는 이탈 기능을 통해 X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Bluesky는 콘텐츠 주소 지정 방식을 통해 노드가 다운되더라도 콘텐츠가 살아남을 수 있게 하는 등 연합우주가 아직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몇 가지 강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앙 집권화된 설계, 전역 뷰에 대한 집착으로 인한 부작용, 개방형 표준으로서의 한계, DM의 중앙화, 그리고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 구현의 제한점 등 여러 측면에서 연합우주의 대안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연합우주는 메시지 전달 방식의 분산된 아키텍처, 낮은 참여 장벽, 개방형 표준 기반의 활발한 커뮤니티 개발, 그리고 사용자에게 더 많은 자율성과 통제권을 제공하는 철학을 바탕으로 구축된, 근본적으로 다른 종류의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입니다.

또한, Bluesky社가 벤처 캐피털 자금을 확보함에 따라 “조직은 미래의 적이다”라는 그들의 자체 인식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수익과 플랫폼 성장이라는 상업적 압력이 진정한 탈중앙화 추구보다 우선시될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유료 계정과 광고가 도입되면서 이러한 우려는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Bluesky는 X를 대체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연합우주가 제공하는 탈중앙화된 가치와 경험을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시스템은 근본적으로 다른 목표와 설계 철학을 가지고 있으며, 이상적으로는 서로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1. 판타지 소설 시리즈 《해리 포터》의 작가.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yamanoku's post

@yamanoku Holloが過去にBunを使っていたのをNode.jsに切り替えました。そういえば、これは良くない例ですね。😅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s avatar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

@kodingwarrior@silicon.moe

물 들어올때 노젓기 준비 ON

一級河川石狩川水系まりん川 :poke_type_water: :ni_rilana:'s avatar
一級河川石狩川水系まりん川 :poke_type_water: :ni_rilana:

@kisaragi_marine@misskey.niri.la

hackers.pub、別にActivityPub周辺領域の知見を蓄積するサーバーではないのね…

daisuke's avatar
daisuke

@dai@hackers.pub

読みました。

自分はホンさんと繋がってまだ日は浅いけど、その理想や指針が反映された良い行動規範だと思います。

純粋に、発展に協力したいです。

コミュニティにおいてなによりも大切なのは、すべての事象に入門者が存在する これを参加者が理解することです。

  • あなたの知っていることのほとんどを他の方は知らない
  • 初見の人がそれを知らないことは当たり前(同じことを何度も聞くのは別です)。

私はこれが根底にあると、アウトプットの大切さに気づくとともに新規参入者の受け入れが楽しくなり活性化すると信じています。

そしてそのアウトプットは間違いなく未来の自分に還元されます。

入門者が恐縮せずに参加できることこそ現代の開発者コミュニティや一部の新旧SNSに欠けている点です、これは分母が大きいことが要因のひとつなので少数で濃い議論ができるHackers' Pubの初期方針は理にかなっています。

geeknews_bot's avatar
geeknews_bot

@geeknews_bot@sns.lemondouble.com

Bluesky와 페디버스(fediverse)의 비교
------------------------------
## 핵심 아키텍처 차이: 메시지 전달 vs 공유 힙
- *페디버스* : 이메일과 유사한 “메시지 전달” 방식 사용
- 특정 수신자에게 직접 메시지 전달
- 필요한 서버에만 메시지가 전송되어 효율적
- 개인이 저렴한 하드웨어로도 노드 운영 가능

-
Bluesky : “공유 힙” 방식 사용
- 모든…
------------------------------
https://news.hada.io/topic?id=19952&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GeekNews에도 〈Bluesky와 페디버스(fediverse)의 비교〉라는 제목으로 올렸습니다.

h12o's avatar
h12o

@h12o@mastodon.tokyo

自分がハッカーかというと名乗るには烏滸がましいけど、興味はあるので、どなたかHacker's Pubに招待くださればうれしい。

Fediverse Linux Users Group's avatar
Fediverse Linux Users Group

@fedilug@msky.ospn.jp

【輪読会試験開催のお知らせ】
本日、
​:fedilug:​ 輪読会📖第0弾として
「〜自分でActivityPub対応SNSを作ってみよう〜『自分だけのフェディバースのマイクロブログを作ろう!』輪読会」
https://github.com/dahlia/fedify-microblog-tutorial-ja

を行います!申し込みは以下からできます!ぜひ参加してフィードバックをください!!
https://fedilug.connpass.com/event/348240/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s avatar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

@kodingwarrior@silicon.moe

트위터 사람 + 블루스카이 사람 + 페디버스 사람이 짬뽕된 멜팅팟으로 만드는것도 이제 시간문제군.
hackers.pub/@kodingwarrior/019

XiNiHa's avatar
XiNiHa

@xiniha@hackers.pub

지금 해커스펍은 Fresh를 활용한 MPA 앱으로 구현되어 있는데, 개인적으로 이것 때문에 이런저런 사용성 아쉬움을 느끼고 있었다. 그래서 해커스펍에 GraphQL API를 붙여서 SPA 프론트엔드를 새로 구현하겠다는 음모계획을 가지고, 이를 위한 기반 작업의 일환으로 Drizzle의 새로운 Relational Query Builder API(RQBv2)를 적용하는 PR을 만들어 보았다 😋

:acting_is_wi_eop: 가온뉘 :being_in_solidarity_is_wi_eop:'s avatar
:acting_is_wi_eop: 가온뉘 :being_in_solidarity_is_wi_eop:

@llewelly_onyx@town.voyager.blue

오, 집회 깃발들 아카이브하는 사이트가 있네.
[깃발들] flaaags.com/

Lee Dogeon's avatar
Lee Dogeon

@moreal@hackers.pub

한국은행은 여러 지표 및 보고서 등을 구독할 수 있도록 토픽 별 RSS 피드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CDATA[로 감쌌음에도 <, & 같은 글자들을 escape 처리하여 제대로 읽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습니다.

때문에 기대한대로 읽을 수 있도록 간단한 릴레이 서버를 작성했습니다. https://bokrss.moreal.dev에서 지원되는 RSS 피드들을 확인할 수 있고 링크를 복사하여 각자 사용하는 RSS 리더에서 구독할 수 있습니다.

좌측에는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원본 RSS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릴레이 RSS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ALT text details좌측에는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원본 RSS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릴레이 RSS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https://bokrss.moreal.dev 의 스크린샷입니다. 릴레이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한국은행 RSS 피드들의 목록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ALT text detailshttps://bokrss.moreal.dev 의 스크린샷입니다. 릴레이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한국은행 RSS 피드들의 목록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 Newer
Old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