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955 following · 1271 followers

An intersectionalist, feminist, and socialist guy living in Seoul (UTC+09:00). @tokolovesme's spouse. Who's behind @fedify, @hollo, and @botkit. Write some free software in , , , & . They/them.

서울에 사는 交叉女性主義者이자 社會主義者. 金剛兔(@tokolovesme)의 配偶者. @fedify, @hollo, @botkit 메인테이너. , , , 等으로 自由 소프트웨어 만듦.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Hello, I'm an open source software engineer in my late 30s living in , , and an avid advocate of and the .

I'm the creator of @fedify, an server framework in , @hollo, an ActivityPub-enabled microblogging software for single users, and @botkit, a simple ActivityPub bot framework.

I'm also very interested in East Asian languages (so-called ) and . Feel free to talk to me in , (), or (), or even in Literary Chinese (,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安寧(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에 살고 있는 30() 後半(후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며, 自由(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聯合宇宙(연합우주)(fediverse)의 熱烈(열렬)支持者(지지자)입니다.

저는 TypeScript() ActivityPub 서버 프레임워크인 @fedify 프로젝트와 싱글 유저() ActivityPub 마이크로블로그인 @hollo 프로젝트와 ActivityPub 봇 프레임워크인 @botkit 프로젝트의 製作者(제작자)이기도 합니다.

저는 ()아시아 言語(언어)(이른바 )와 유니코드에도 關心(관심)이 많습니다. 聯合宇宙(연합우주)에서는 國漢文混用體(국한문 혼용체)를 쓰고 있어요! 제게 韓國語(한국어)英語(영어), 日本語(일본어)로 말을 걸어주세요. (아니면, 漢文(한문)으로도!)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こんにちは、私はソウルに住んでいる30代後半のオープンソースソフトウェアエンジニアで、自由・オープンソースソフトウェアとフェディバースの熱烈な支持者です。名前は洪 民憙ホン・ミンヒです。

私はTypeScript用のActivityPubサーバーフレームワークである「@fedify」と、ActivityPubをサポートする1人用マイクロブログである 「@hollo」と、ActivityPubのボットを作成する為のシンプルなフレームワークである「@botkit」の作者でもあります。

私は東アジア言語(いわゆるCJK)とUnicodeにも興味が多いです。日本語、英語、韓国語で話しかけてください。(または、漢文でも!)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最近、OptiqueというTypeScript向けのCLIパーサー「コンビネーター」を作っています。Optiqueは、複雑なCLIを小さなパーツの組み合わせで記述できる様にしてくれます。そして、そのCLIのパース結果を型安全に扱う事が出来ます。(下記のコード参照)アイデアはHaskellのoptparse-applicative から得ましたが、TypeScriptはHaskellとAPIのスタイルがかなり異なる為、APIの面ではZod等を参考にしました。詳しい紹介はHackers' Pubに投稿した記事をご覧ください!

const parser = or(
  object({
    type: constant("network"),
    host: option(
      "-h", "--host",
      string({ metavar: "HOST" }),
    ),
    port: option(
      "-p", "--port",
      integer({ metavar: "PORT", min: 0, max: 65535 }),
    ),
  }),
  object({
    type: constant("local"),
    file: option(
      "-s", "--socket-file",
      string({ metavar: "FILE" }),
    ),
  }),
)

type Result = InferValue<typeof parser>;

// Resultの推論された型
type Result = {
    readonly type: "network";
    readonly host: string;
    readonly port: number;
} | {
    readonly type: "local";
    readonly file: string;
}
ALT text detailsconst parser = or( object({ type: constant("network"), host: option( "-h", "--host", string({ metavar: "HOST" }), ), port: option( "-p", "--port", integer({ metavar: "PORT", min: 0, max: 65535 }), ), }), object({ type: constant("local"), file: option( "-s", "--socket-file", string({ metavar: "FILE" }), ), }), ) type Result = InferValue<typeof parser>; // Resultの推論された型 type Result = { readonly type: "network"; readonly host: string; readonly port: number; } | { readonly type: "local"; readonly file: string;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최근 Optique라는 다소 실험적인 CLI 파서 라이브러리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쓰는 2025년 8월 21일 시점으로 아직 0.1.0도 릴리스되지 않았지만, 나름대로 재미있는 발상이라고 생각해서 이 글을 통해 소개합니다.

Optique는 크게 두 가지 다른 라이브러리로부터 영향을 받았습니다. 하나는 Haskell의 optparse-applicative라는 라이브러리인데, 이 라이브러리로부터 얻은 교훈은 CLI 파서도 파서 컴비네이터가 될 수 있고, 그렇게 만들었을 때 매우 유용하다는 사실입니다. 다른 하나는 TypeScript 사용자들에게 이미 익숙한 Zod입니다. 비록 optparse-applicative에서 아이디어의 줄기를 얻긴 했지만, Haskell과 TypeScript는 너무나 다른 언어라서 API를 구성하는 방식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API를 구성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Zod를 비롯한 여러 유효성 검사 라이브러리를 참고하게 되었습니다.

Optique는 여러 작은 파서들과 파서 컴비네이터들을 레고 부품처럼 조립하여 CLI가 어떠한 모양이어야 하는지를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가장 작은 부품 중 하나로는 option()이 있습니다:

const parser = option("-a", "--allow", url());

이 파서를 실행하려면 run()이라는 API를 사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run() 함수는 암시적으로 process.argv.slice(2)를 읽습니다.)

const allow: URL = run(parser);

위 코드에서 제가 일부러 URL이라는 타입을 명시하긴 했지만,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저절로 URL 타입으로 추론됩니다. 위 파서는 -a/--allow=URL 옵션만을 받아들입니다. 다른 옵션이나 인자를 줄 경우 오류가 납니다. -a/--allow=URL 옵션이 주어지지 않아도 오류가 납니다.

만약 -a/--allow=URL 옵션을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럴 때는 optional() 컴비네이터로 option() 파서를 감싸면 됩니다.

const parser = optional(option("-a", "--allow", url()));

이 파서를 실행하면 결과로 어떤 타입이 나올까요?

const allow: URL | undefined = run(parser);

네, URL | undefined 타입이 됩니다.

아니면, 아예 -a/--allow=URL 옵션을 여러 개 받을 수 있게 해봅시다. 아래처럼 쓸 수 있게요:

prog -a https://example.com/ -a https://hackers.pub/

이렇게 옵션을 여러 번 쓸 수 있게 하려면, optional() 컴비네이터 대신 multiple() 컴비네이터를 씁니다:

const parser = multiple(option("-a", "--allow", url()));

이제 슬슬 결과 타입이 어떻게 나올지 예상이 되시죠?

const allowList: readonly URL[] = run(parser);

네, readonly URL[] 타입이 됩니다.

그런데, 만약 -a/--allow=URL 옵션과는 함께 쓸 수 없는 상호배타적인 -d/--disallow=URL이라는 옵션을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둘 중 한 쪽의 옵션만 동시에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럴 때는 or() 컴비네이터를 사용하면 됩니다:

const parser = or(
  multiple(option("-a", "--allow", url())),
  multiple(option("-d", "--disallow", url())),
);

이 파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들은 잘 받아들입니다:

prog -a https://example.com/ --allow    https://hackers.pub/
prog -d https://example.com/ --disallow https://hackers.pub/

하지만 다음과 같이 -a/--allow=URL 옵션과 -d/--disallow=URL 옵션이 섞여있을 때는 오류를 냅니다:

prog -a https://example.com/ --disallow https://hackers.pub/

아무튼, 그럼 이 파서의 결과는 어떤 타입이 될까요?

const result: readonly URL[] = run(parser);

이런, or() 컴비네이터가 감싸는 2개의 파서 모두 readonly URL[] 타입의 값을 만들기 때문에 readonly URL[] | readonly URL[] 타입이 되어, 결과적으로 readonly URL[] 타입이 되어버렸습니다. 제대로 된 변별 공용체(discriminated union) 형식으로 바꾸고 싶군요. 아래와 같은 타입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const Result =
  | { mode: "allowList"; allowList: readonly URL[] }
  | { mode: "blockList"; blockList: readonly URL[] };

이렇게 객체 형태의 구조를 만들고 싶을 때는 object() 컴비네이터를 쓰면 됩니다:

const parser = or(
  object({
    mode: constant("allowList"),
    allowList: multiple(option("-a", "--allow", url())),
  }),
  object({
    mode: constant("blockList"),
    blockList: multiple(option("-d", "--disallow", url())),
  }),
);

변별자(discriminator)를 부여하기 위해 constant() 파서도 사용했습니다. 이 파서는 조금 특이한 파서인데, 아무 것도 읽지 않고 주어진 값을 만들기만 합니다. 즉, 항상 성공하는 파서입니다. 이렇게 변별 공용체를 구성할 때 주로 쓰이지만, 다른 창의적인 방식으로도 쓰일 수 있을 겁니다.

이제 이 파서는 우리가 원하는 타입의 결과 값을 만듭니다:

const result:
  | { readonly mode: "allowList"; readonly allowList: readonly URL[] }
  | { readonly mode: "blockList"; readonly blockList: readonly URL[] }
  = run(parser);

꼭 상호배타적인 옵션들에만 or() 컴비네이터나 object() 컴비네이터를 쓰는 건 아닙니다. 서브커맨드도 같은 원리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커맨드에 매치되는 command() 파서와 순서 인자에 매치되는 argument() 파서를 소개합니다:

const parser = command(
  "download",
  object({
    targetDirectory: optional(
      option(
        "-t", "--target",
        file({ metavar: "DIR", type: "directory" })
      )
    ),
    urls: multiple(argument(url())),
  })
)

위 파서는 아래와 같은 명령에 매치됩니다:

prog download --target=out/ https://example.com/ https://example.net/

파서의 결과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st result: {
  readonly targetDirectory: string | undefined;
  readonly urls: readonly URL[];
} = run(parser); 

여기에 upload 서브커맨드를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맞습니다, or() 컴비네이터로 엮으면 됩니다:

const parser = or(
  command(
    "download",
    object({
      action: constant("download"),
      targetDirectory: optional(
        option(
          "-t", "--target",
          file({ metavar: "DIR", type: "directory" })
        )
      ),
      urls: multiple(argument(url())),
    })
  ),
  command(
    "upload",
    object({
      action: constant("upload"),
      url: option("-d", "--dest", "--destination", url()),
      files: multiple(
        argument(file({ metavar: "FILE", type: "file" })),
        { min: 1 },
      ),
    })
  ),
);

위 파서는 이제 다음과 같은 명령들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g upload ./a.txt ./b.txt -d https://example.com/
prog download -t ./out/ https://example.com/ https://hackers.pub/

이 파서의 결과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st result:
  | {
      readonly action: "download";
      readonly targetDirectory: string | undefined;
      readonly urls: readonly URL[];
    }
  | {
      readonly action: "upload";
      readonly url: URL;
      readonly files: readonly string[];
    }
  = run(parser); 

같은 방식을 응용하면 겹쳐진 서브커맨드(nested subcommands)도 구현할 수 있겠죠?

자, 이렇게 Optique가 CLI를 표현하는 방식을 보여드렸는데요. 어떤 것 같나요? Optique의 방식이 복잡한 CLI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는 게 와닿으시나요?

물론, Optique의 방식도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아주 전형적이고 단순한 CLI를 정의하는 데에는 오히려 더 손이 가는 것도 사실입니다. 또한, Optique는 오로지 CLI 파서의 역할만 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CLI 앱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은 제공하지 않기도 합니다. (추후 Optique에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Optique의 접근 방식에 흥미를 느끼셨다면, 소개 문서튜토리얼도 한 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I've recently been working on Optique, a CLI parser combinator for TypeScript. Optique allows you to describe complex CLIs by combining smaller parts. You can also handle the CLI parsing results in a type-safe manner (see code below). The idea came from Haskell's optparse-applicative, but since TypeScript's API style is so different from Haskell's, I referenced Zod and similar libraries for the API design. For a more detailed introduction, please refer to the article I posted on Hackers' Pub!

const parser = or(
  object({
    type: constant("network"),
    host: option(
      "-h", "--host",
      string({ metavar: "HOST" }),
    ),
    port: option(
      "-p", "--port",
      integer({ metavar: "PORT", min: 0, max: 65535 }),
    ),
  }),
  object({
    type: constant("local"),
    file: option(
      "-s", "--socket-file",
      string({ metavar: "FILE" }),
    ),
  }),
)

type Result = InferValue<typeof parser>;

// The above type is inferred as:
type Result = {
    readonly type: "network";
    readonly host: string;
    readonly port: number;
} | {
    readonly type: "local";
    readonly file: string;
}
ALT text detailsconst parser = or( object({ type: constant("network"), host: option( "-h", "--host", string({ metavar: "HOST" }), ), port: option( "-p", "--port", integer({ metavar: "PORT", min: 0, max: 65535 }), ), }), object({ type: constant("local"), file: option( "-s", "--socket-file", string({ metavar: "FILE" }), ), }), ) type Result = InferValue<typeof parser>; // The above type is inferred as: type Result = { readonly type: "network"; readonly host: string; readonly port: number; } | { readonly type: "local"; readonly file: string;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최근 Optique라는 다소 실험적인 CLI 파서 라이브러리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쓰는 2025년 8월 21일 시점으로 아직 0.1.0도 릴리스되지 않았지만, 나름대로 재미있는 발상이라고 생각해서 이 글을 통해 소개합니다.

Optique는 크게 두 가지 다른 라이브러리로부터 영향을 받았습니다. 하나는 Haskell의 optparse-applicative라는 라이브러리인데, 이 라이브러리로부터 얻은 교훈은 CLI 파서도 파서 컴비네이터가 될 수 있고, 그렇게 만들었을 때 매우 유용하다는 사실입니다. 다른 하나는 TypeScript 사용자들에게 이미 익숙한 Zod입니다. 비록 optparse-applicative에서 아이디어의 줄기를 얻긴 했지만, Haskell과 TypeScript는 너무나 다른 언어라서 API를 구성하는 방식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API를 구성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Zod를 비롯한 여러 유효성 검사 라이브러리를 참고하게 되었습니다.

Optique는 여러 작은 파서들과 파서 컴비네이터들을 레고 부품처럼 조립하여 CLI가 어떠한 모양이어야 하는지를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가장 작은 부품 중 하나로는 option()이 있습니다:

const parser = option("-a", "--allow", url());

이 파서를 실행하려면 run()이라는 API를 사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run() 함수는 암시적으로 process.argv.slice(2)를 읽습니다.)

const allow: URL = run(parser);

위 코드에서 제가 일부러 URL이라는 타입을 명시하긴 했지만,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저절로 URL 타입으로 추론됩니다. 위 파서는 -a/--allow=URL 옵션만을 받아들입니다. 다른 옵션이나 인자를 줄 경우 오류가 납니다. -a/--allow=URL 옵션이 주어지지 않아도 오류가 납니다.

만약 -a/--allow=URL 옵션을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럴 때는 optional() 컴비네이터로 option() 파서를 감싸면 됩니다.

const parser = optional(option("-a", "--allow", url()));

이 파서를 실행하면 결과로 어떤 타입이 나올까요?

const allow: URL | undefined = run(parser);

네, URL | undefined 타입이 됩니다.

아니면, 아예 -a/--allow=URL 옵션을 여러 개 받을 수 있게 해봅시다. 아래처럼 쓸 수 있게요:

prog -a https://example.com/ -a https://hackers.pub/

이렇게 옵션을 여러 번 쓸 수 있게 하려면, optional() 컴비네이터 대신 multiple() 컴비네이터를 씁니다:

const parser = multiple(option("-a", "--allow", url()));

이제 슬슬 결과 타입이 어떻게 나올지 예상이 되시죠?

const allowList: readonly URL[] = run(parser);

네, readonly URL[] 타입이 됩니다.

그런데, 만약 -a/--allow=URL 옵션과는 함께 쓸 수 없는 상호배타적인 -d/--disallow=URL이라는 옵션을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둘 중 한 쪽의 옵션만 동시에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럴 때는 or() 컴비네이터를 사용하면 됩니다:

const parser = or(
  multiple(option("-a", "--allow", url())),
  multiple(option("-d", "--disallow", url())),
);

이 파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들은 잘 받아들입니다:

prog -a https://example.com/ --allow    https://hackers.pub/
prog -d https://example.com/ --disallow https://hackers.pub/

하지만 다음과 같이 -a/--allow=URL 옵션과 -d/--disallow=URL 옵션이 섞여있을 때는 오류를 냅니다:

prog -a https://example.com/ --disallow https://hackers.pub/

아무튼, 그럼 이 파서의 결과는 어떤 타입이 될까요?

const result: readonly URL[] = run(parser);

이런, or() 컴비네이터가 감싸는 2개의 파서 모두 readonly URL[] 타입의 값을 만들기 때문에 readonly URL[] | readonly URL[] 타입이 되어, 결과적으로 readonly URL[] 타입이 되어버렸습니다. 제대로 된 변별 공용체(discriminated union) 형식으로 바꾸고 싶군요. 아래와 같은 타입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const Result =
  | { mode: "allowList"; allowList: readonly URL[] }
  | { mode: "blockList"; blockList: readonly URL[] };

이렇게 객체 형태의 구조를 만들고 싶을 때는 object() 컴비네이터를 쓰면 됩니다:

const parser = or(
  object({
    mode: constant("allowList"),
    allowList: multiple(option("-a", "--allow", url())),
  }),
  object({
    mode: constant("blockList"),
    blockList: multiple(option("-d", "--disallow", url())),
  }),
);

변별자(discriminator)를 부여하기 위해 constant() 파서도 사용했습니다. 이 파서는 조금 특이한 파서인데, 아무 것도 읽지 않고 주어진 값을 만들기만 합니다. 즉, 항상 성공하는 파서입니다. 이렇게 변별 공용체를 구성할 때 주로 쓰이지만, 다른 창의적인 방식으로도 쓰일 수 있을 겁니다.

이제 이 파서는 우리가 원하는 타입의 결과 값을 만듭니다:

const result:
  | { readonly mode: "allowList"; readonly allowList: readonly URL[] }
  | { readonly mode: "blockList"; readonly blockList: readonly URL[] }
  = run(parser);

꼭 상호배타적인 옵션들에만 or() 컴비네이터나 object() 컴비네이터를 쓰는 건 아닙니다. 서브커맨드도 같은 원리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커맨드에 매치되는 command() 파서와 순서 인자에 매치되는 argument() 파서를 소개합니다:

const parser = command(
  "download",
  object({
    targetDirectory: optional(
      option(
        "-t", "--target",
        file({ metavar: "DIR", type: "directory" })
      )
    ),
    urls: multiple(argument(url())),
  })
)

위 파서는 아래와 같은 명령에 매치됩니다:

prog download --target=out/ https://example.com/ https://example.net/

파서의 결과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st result: {
  readonly targetDirectory: string | undefined;
  readonly urls: readonly URL[];
} = run(parser); 

여기에 upload 서브커맨드를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맞습니다, or() 컴비네이터로 엮으면 됩니다:

const parser = or(
  command(
    "download",
    object({
      action: constant("download"),
      targetDirectory: optional(
        option(
          "-t", "--target",
          file({ metavar: "DIR", type: "directory" })
        )
      ),
      urls: multiple(argument(url())),
    })
  ),
  command(
    "upload",
    object({
      action: constant("upload"),
      url: option("-d", "--dest", "--destination", url()),
      files: multiple(
        argument(file({ metavar: "FILE", type: "file" })),
        { min: 1 },
      ),
    })
  ),
);

위 파서는 이제 다음과 같은 명령들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g upload ./a.txt ./b.txt -d https://example.com/
prog download -t ./out/ https://example.com/ https://hackers.pub/

이 파서의 결과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st result:
  | {
      readonly action: "download";
      readonly targetDirectory: string | undefined;
      readonly urls: readonly URL[];
    }
  | {
      readonly action: "upload";
      readonly url: URL;
      readonly files: readonly string[];
    }
  = run(parser); 

같은 방식을 응용하면 겹쳐진 서브커맨드(nested subcommands)도 구현할 수 있겠죠?

자, 이렇게 Optique가 CLI를 표현하는 방식을 보여드렸는데요. 어떤 것 같나요? Optique의 방식이 복잡한 CLI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는 게 와닿으시나요?

물론, Optique의 방식도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아주 전형적이고 단순한 CLI를 정의하는 데에는 오히려 더 손이 가는 것도 사실입니다. 또한, Optique는 오로지 CLI 파서의 역할만 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CLI 앱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은 제공하지 않기도 합니다. (추후 Optique에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Optique의 접근 방식에 흥미를 느끼셨다면, 소개 문서튜토리얼도 한 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박준규's avatar
박준규

@curry@hackers.pub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hongminhee 저도 마침 하스켈 라이브러리 optparse-applicative를 가지고 놀고 있었는데 반갑네요! 파서 콤비네이터는 신이야!

잇창명 EatChangmyeong💕's avatar
잇창명 EatChangmyeong💕

@eatch.dev@bsky.brid.gy

패스워드 매니저 쓰시는 블친 여러분!!! 제로데이 취약점이 생겼다고 하니까 조심하세요!! 특히 - 1Password - Bitwarden - Enpass - iCloud - LastPass - LogMeOnce socket.dev/blog/passwor...

Researcher Exposes Zero-Day Cl...

Deno's avatar
Deno

@deno_land@fosstodon.org

Patience rewarded. 🎊
Deno Deploy EA now supports KV

deno.com/deploy

silverpill's avatar
silverpill

@silverpill@mitra.social

Forgejo repositories could work as federated groups

https://codeberg.org/forgejo-contrib/federation/issues/55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최근 Optique라는 다소 실험적인 CLI 파서 라이브러리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쓰는 2025년 8월 21일 시점으로 아직 0.1.0도 릴리스되지 않았지만, 나름대로 재미있는 발상이라고 생각해서 이 글을 통해 소개합니다.

Optique는 크게 두 가지 다른 라이브러리로부터 영향을 받았습니다. 하나는 Haskell의 optparse-applicative라는 라이브러리인데, 이 라이브러리로부터 얻은 교훈은 CLI 파서도 파서 컴비네이터가 될 수 있고, 그렇게 만들었을 때 매우 유용하다는 사실입니다. 다른 하나는 TypeScript 사용자들에게 이미 익숙한 Zod입니다. 비록 optparse-applicative에서 아이디어의 줄기를 얻긴 했지만, Haskell과 TypeScript는 너무나 다른 언어라서 API를 구성하는 방식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API를 구성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Zod를 비롯한 여러 유효성 검사 라이브러리를 참고하게 되었습니다.

Optique는 여러 작은 파서들과 파서 컴비네이터들을 레고 부품처럼 조립하여 CLI가 어떠한 모양이어야 하는지를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가장 작은 부품 중 하나로는 option()이 있습니다:

const parser = option("-a", "--allow", url());

이 파서를 실행하려면 run()이라는 API를 사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run() 함수는 암시적으로 process.argv.slice(2)를 읽습니다.)

const allow: URL = run(parser);

위 코드에서 제가 일부러 URL이라는 타입을 명시하긴 했지만,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저절로 URL 타입으로 추론됩니다. 위 파서는 -a/--allow=URL 옵션만을 받아들입니다. 다른 옵션이나 인자를 줄 경우 오류가 납니다. -a/--allow=URL 옵션이 주어지지 않아도 오류가 납니다.

만약 -a/--allow=URL 옵션을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럴 때는 optional() 컴비네이터로 option() 파서를 감싸면 됩니다.

const parser = optional(option("-a", "--allow", url()));

이 파서를 실행하면 결과로 어떤 타입이 나올까요?

const allow: URL | undefined = run(parser);

네, URL | undefined 타입이 됩니다.

아니면, 아예 -a/--allow=URL 옵션을 여러 개 받을 수 있게 해봅시다. 아래처럼 쓸 수 있게요:

prog -a https://example.com/ -a https://hackers.pub/

이렇게 옵션을 여러 번 쓸 수 있게 하려면, optional() 컴비네이터 대신 multiple() 컴비네이터를 씁니다:

const parser = multiple(option("-a", "--allow", url()));

이제 슬슬 결과 타입이 어떻게 나올지 예상이 되시죠?

const allowList: readonly URL[] = run(parser);

네, readonly URL[] 타입이 됩니다.

그런데, 만약 -a/--allow=URL 옵션과는 함께 쓸 수 없는 상호배타적인 -d/--disallow=URL이라는 옵션을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둘 중 한 쪽의 옵션만 동시에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럴 때는 or() 컴비네이터를 사용하면 됩니다:

const parser = or(
  multiple(option("-a", "--allow", url())),
  multiple(option("-d", "--disallow", url())),
);

이 파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들은 잘 받아들입니다:

prog -a https://example.com/ --allow    https://hackers.pub/
prog -d https://example.com/ --disallow https://hackers.pub/

하지만 다음과 같이 -a/--allow=URL 옵션과 -d/--disallow=URL 옵션이 섞여있을 때는 오류를 냅니다:

prog -a https://example.com/ --disallow https://hackers.pub/

아무튼, 그럼 이 파서의 결과는 어떤 타입이 될까요?

const result: readonly URL[] = run(parser);

이런, or() 컴비네이터가 감싸는 2개의 파서 모두 readonly URL[] 타입의 값을 만들기 때문에 readonly URL[] | readonly URL[] 타입이 되어, 결과적으로 readonly URL[] 타입이 되어버렸습니다. 제대로 된 변별 공용체(discriminated union) 형식으로 바꾸고 싶군요. 아래와 같은 타입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const Result =
  | { mode: "allowList"; allowList: readonly URL[] }
  | { mode: "blockList"; blockList: readonly URL[] };

이렇게 객체 형태의 구조를 만들고 싶을 때는 object() 컴비네이터를 쓰면 됩니다:

const parser = or(
  object({
    mode: constant("allowList"),
    allowList: multiple(option("-a", "--allow", url())),
  }),
  object({
    mode: constant("blockList"),
    blockList: multiple(option("-d", "--disallow", url())),
  }),
);

변별자(discriminator)를 부여하기 위해 constant() 파서도 사용했습니다. 이 파서는 조금 특이한 파서인데, 아무 것도 읽지 않고 주어진 값을 만들기만 합니다. 즉, 항상 성공하는 파서입니다. 이렇게 변별 공용체를 구성할 때 주로 쓰이지만, 다른 창의적인 방식으로도 쓰일 수 있을 겁니다.

이제 이 파서는 우리가 원하는 타입의 결과 값을 만듭니다:

const result:
  | { readonly mode: "allowList"; readonly allowList: readonly URL[] }
  | { readonly mode: "blockList"; readonly blockList: readonly URL[] }
  = run(parser);

꼭 상호배타적인 옵션들에만 or() 컴비네이터나 object() 컴비네이터를 쓰는 건 아닙니다. 서브커맨드도 같은 원리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커맨드에 매치되는 command() 파서와 순서 인자에 매치되는 argument() 파서를 소개합니다:

const parser = command(
  "download",
  object({
    targetDirectory: optional(
      option(
        "-t", "--target",
        file({ metavar: "DIR", type: "directory" })
      )
    ),
    urls: multiple(argument(url())),
  })
)

위 파서는 아래와 같은 명령에 매치됩니다:

prog download --target=out/ https://example.com/ https://example.net/

파서의 결과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st result: {
  readonly targetDirectory: string | undefined;
  readonly urls: readonly URL[];
} = run(parser); 

여기에 upload 서브커맨드를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맞습니다, or() 컴비네이터로 엮으면 됩니다:

const parser = or(
  command(
    "download",
    object({
      action: constant("download"),
      targetDirectory: optional(
        option(
          "-t", "--target",
          file({ metavar: "DIR", type: "directory" })
        )
      ),
      urls: multiple(argument(url())),
    })
  ),
  command(
    "upload",
    object({
      action: constant("upload"),
      url: option("-d", "--dest", "--destination", url()),
      files: multiple(
        argument(file({ metavar: "FILE", type: "file" })),
        { min: 1 },
      ),
    })
  ),
);

위 파서는 이제 다음과 같은 명령들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g upload ./a.txt ./b.txt -d https://example.com/
prog download -t ./out/ https://example.com/ https://hackers.pub/

이 파서의 결과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st result:
  | {
      readonly action: "download";
      readonly targetDirectory: string | undefined;
      readonly urls: readonly URL[];
    }
  | {
      readonly action: "upload";
      readonly url: URL;
      readonly files: readonly string[];
    }
  = run(parser); 

같은 방식을 응용하면 겹쳐진 서브커맨드(nested subcommands)도 구현할 수 있겠죠?

자, 이렇게 Optique가 CLI를 표현하는 방식을 보여드렸는데요. 어떤 것 같나요? Optique의 방식이 복잡한 CLI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는 게 와닿으시나요?

물론, Optique의 방식도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아주 전형적이고 단순한 CLI를 정의하는 데에는 오히려 더 손이 가는 것도 사실입니다. 또한, Optique는 오로지 CLI 파서의 역할만 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CLI 앱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은 제공하지 않기도 합니다. (추후 Optique에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Optique의 접근 방식에 흥미를 느끼셨다면, 소개 문서튜토리얼도 한 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오브젝티프's avatar
오브젝티프

@objectif@mitir.social

<sarcasm>

I find this claim highly
unbearble.

I mean, people with big egos cause serious problems! Fediverse itself is part of an evidence: Look at what Musk's ego did to our world. I am enraged.

Worse, this insight suggests me to ponder if I'm angry because my ego. That is further infuriating!

Worse, now I consider if I am so outraged because it has truth in it. That leaves me vehement!

This is a remarkable staircase of exponential anger. I am actually amazed. It reminds me of my astonishment when I first read Liu Cixin's _Death's End_, in which Luo Ji returns as the first Swordholder in the most terrifying, hard-boiled depiction of a war system.

Like an assassin, Hong Minhee forged this mental blade within a few words, and landed his strike. Now look at my babble. You can see how effective his attack was.

I still believe big egos are enraging, because they actually cause damage to our world, especially for equality and diversity.

I will also block anyone who asks me if I have a big ego.

</sarcasm>


RE: https://hollo.social/@hongminhee/0198b7fc-f946-715b-aa7c-d0da2c16fdbb

@reiver ⊼ (Charles) :batman:'s avatar
@reiver ⊼ (Charles) :batman:

@reiver@mastodon.social

Social Web Conferences

reiver.codeberg.page/social-we

I am working on creating a list of upcoming Social Web Conferences.

Using a broad definition of "Social Web" that includes the ActivityPub, AT-Protocol, ATmosphere, Bluesky, Farcaster, Fediverse, Matrix, and Nostr.

These are conferences that I might want to attend. (And, perhaps you may, too.)

Is there anything else I should add to this?

AmaseCocoa's avatar
AmaseCocoa

@cocoa@hackers.pub

わざわざこんなことするのには理由があって、結局フレームワークと統合するにも今のアプローチだと限界があるっていうのが1つの理由 (今の方法だとその新しいフレームワークの方法 (FastAPIみたいにStarletteベースにする)よりも統合が弱くなる)。もう一つはapkitだから別のプロトコルに対応させるのは明らかに変だっていうこと。まぁ後者はATとかサポートするか怪しいから適当

AmaseCocoa's avatar
AmaseCocoa

@cocoa@hackers.pub · Reply to AmaseCocoa's post

まぁ正しく言うならFediverseフレームワークみたいなものになるけど

名称自体もap系ではないし落ち着いてきたら複数のプロトコルをサポートするようにしたい

AmaseCocoa's avatar
AmaseCocoa

@cocoa@hackers.pub

apmodelとapsigの上に構築されたapkitの上に構築されたStarletteをベースとしたActivityPubフレームワークっていうとんでもなくわかりにくい書き方のものが生まれそう

Jaeyeol Lee's avatar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해커스펍 오프라인 밋업... 일정은 확정되었고, 연사자분들도 좋은 분들로 모셨는데 때가 되면 공개하겠습니다...... 다음달 중순이긴 함...

robin's avatar
robin

@robin@hackers.pub · Reply to robin's post

@robin_maki 결과: 마스토돈에서 새로운 conversation을 만들어서 AP로 노출한다!! 그럼 이 위 글에 또 다른 서버에서 답글을 남기면 conversation이 분리되겠지??

robin's avatar
robin

@robin_maki@planet.moe · Reply to robin's post

@robin 그럼 여기에 마스토돈에서 답글을 달면 이 Note에서는 conversation을 뭐라고 할까??

robin's avatar
robin

@robin@hackers.pub

(연합 테스트용) 해커스펍은 ActivityPub Note에 별도의 ostatus conversation도 context도 없다 이걸 마스토돈에서 보면 임의의 conversation id를 만들어준다

Andy Piper's avatar
Andy Piper

@andypiper@macaw.social

Shout-out for @fedify as a great tool for developers in the 🫶🏻 from @dave

David Roetzel, a white man wearing a black t-shirt in front of a slide describing Fedify (a TypeScript ActivityPub server framework and CLI tool). A Mastodon plushie sits on the table in front.
ALT text detailsDavid Roetzel, a white man wearing a black t-shirt in front of a slide describing Fedify (a TypeScript ActivityPub server framework and CLI tool). A Mastodon plushie sits on the table in front.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s avatar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

@kodingwarrior@silicon.moe

아... 이제서야 집 도착... FediDev KR 파이콘 부스를 지켜주셨던 @akastoot @z9mb1 @2chanhaeng @iamuhun @hongminhee @nebuleto 등등등 고생 많으셨습니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My theory on egos: People with big egos can't stand other people with big egos. People without big egos don't really notice other people's egos.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If you find it unbearable to be around people with big egos, you might want to consider whether your own ego is the problem.

AmaseCocoa's avatar
AmaseCocoa

@cocoa@hackers.pub

できた https://amasecocoa.github.io/fep/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파이콘 한국 2025의 Hackers' Pub 및 FediDev KR 커뮤니티 부스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모두 여러분 덕분입니다.

양일간 부스 지키느라 도와주신 분들께 모두 감사드립니다! @nebuleto @kodingwarrior @akastoot @2chanhaeng @z9mb1 @joonnot @gaebalgom 🙏🏼

Haze's avatar
Haze

@nebuleto@hackers.pub

오늘과 내일 PyCon KR 2025에서 해커스펍 부스 도우미로 나와있습니다! 파이콘 오신 분들 많이 들러주세요 :)

이찬행's avatar
이찬행

@2chanhaeng@hackers.pub

파이콘 와서 더위에 시달리다 정신차려보니 왠지 부스에 앉아있었다

파이콘 2025 FediDev KR 부스 테이블 사진
ALT text details파이콘 2025 FediDev KR 부스 테이블 사진
wwj's avatar
wwj

@z9mb1@hackers.pub

점심시간 한정!!!! 부스 지킴이 용병하고 있습니다



RE: https://hackers.pub/@2chanhaeng/0198b0d2-8970-7300-977c-20b0e4143dee

이찬행's avatar
이찬행

@2chanhaeng@hackers.pub

파이콘 와서 더위에 시달리다 정신차려보니 왠지 부스에 앉아있었다

파이콘 2025 FediDev KR 부스 테이블 사진
ALT text details파이콘 2025 FediDev KR 부스 테이블 사진
Jaeyeol Lee's avatar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crohasang 님이 작명해주신 덕분에, 찝찝한 기분도 덜어내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좀 더 속도를 낼 수 있을 것 같다..... 압도적 감사.... 기념으로 도메인도 샀다. https://cosmosli.de 뽕을 뽑자 이젠.....

fedify-showcase 라는 이름으로만 남겨놔서 굉장히 찝찝했는데, crohasang님이 이름을 지어주신 덕분에 리포지토리 이름도, organization이름도 훨씬 더 간결해졌다.
ALT text detailsfedify-showcase 라는 이름으로만 남겨놔서 굉장히 찝찝했는데, crohasang님이 이름을 지어주신 덕분에 리포지토리 이름도, organization이름도 훨씬 더 간결해졌다.
name.com에서 cosmosli.de 도메인을 샀다
ALT text detailsname.com에서 cosmosli.de 도메인을 샀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이번 주말에는 양일 모두 파이콘 한국 2025에 가서 Hackers' Pub 부스를 지킵니다!



RE: https://hackerspub-ask-bot.deno.dev/message/0198ab62-41b8-76b7-8f05-eb833c27d7f1

HackersPub Ask Bot

@bot@hackerspub-ask-bot.deno.dev

# Ask Hackers Pub : 이번 주말에 뭐 하시나요?

이번 주말에 뭘 하려고 계획 중인지 편하게 얘기해 보아요.
읽을 책, 가볼 곳, 해볼 것.. 어떤 것이든 좋습니다.
도움 요청이나 피드백 요청도 좋습니다.
물론!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는 것도 훌륭합니다.

* 지난 주말에 계획하셨던 일의 회고도 한 번 남겨보면 좋을 것 같아요.

금강토's avatar
금강토

@tokolovesme@seoul.earth

단발로 잘랐다가 오늘 숏컷 함 ㅋㅋㅋ 민희 좋다 말음… 내가 봐도 숏컷보단 단발이 낫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ちなみに、韓国語で「點心ゾムシム 」は点心ディムサムではなく、昼食という意味です。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오늘의 點心(점심). 도미 貫子(관자) 솥밥.

도미 貫子 솥밥
ALT text details도미 貫子 솥밥
← Newer
Old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