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952 following · 1265 followers

An intersectionalist, feminist, and socialist guy living in Seoul (UTC+09:00). @tokolovesme's spouse. Who's behind @fedify, @hollo, and @botkit. Write some free software in , , , & . They/them.

서울에 사는 交叉女性主義者이자 社會主義者. 金剛兔(@tokolovesme)의 配偶者. @fedify, @hollo, @botkit 메인테이너. , , , 等으로 自由 소프트웨어 만듦.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Hello, I'm an open source software engineer in my late 30s living in , , and an avid advocate of and the .

I'm the creator of @fedify, an server framework in , @hollo, an ActivityPub-enabled microblogging software for single users, and @botkit, a simple ActivityPub bot framework.

I'm also very interested in East Asian languages (so-called ) and . Feel free to talk to me in , (), or (), or even in Literary Chinese (,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安寧(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에 살고 있는 30() 後半(후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며, 自由(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聯合宇宙(연합우주)(fediverse)의 熱烈(열렬)支持者(지지자)입니다.

저는 TypeScript() ActivityPub 서버 프레임워크인 @fedify 프로젝트와 싱글 유저() ActivityPub 마이크로블로그인 @hollo 프로젝트와 ActivityPub 봇 프레임워크인 @botkit 프로젝트의 製作者(제작자)이기도 합니다.

저는 ()아시아 言語(언어)(이른바 )와 유니코드에도 關心(관심)이 많습니다. 聯合宇宙(연합우주)에서는 國漢文混用體(국한문 혼용체)를 쓰고 있어요! 제게 韓國語(한국어)英語(영어), 日本語(일본어)로 말을 걸어주세요. (아니면, 漢文(한문)으로도!)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こんにちは、私はソウルに住んでいる30代後半のオープンソースソフトウェアエンジニアで、自由・オープンソースソフトウェアとフェディバースの熱烈な支持者です。名前は洪 民憙ホン・ミンヒです。

私はTypeScript用のActivityPubサーバーフレームワークである「@fedify」と、ActivityPubをサポートする1人用マイクロブログである 「@hollo」と、ActivityPubのボットを作成する為のシンプルなフレームワークである「@botkit」の作者でもあります。

私は東アジア言語(いわゆるCJK)とUnicodeにも興味が多いです。日本語、英語、韓国語で話しかけてください。(または、漢文でも!)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でプロフィールカードを作成しました! https://purofu.y-zu.org/view/card?id=201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もちもちずきん :teto_zuho: 🍆's post

@Yohei_Zuho Holloを直してログインに成功しました。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나나나나미's avatar
나나나나미

@nnanananami@planet.moe

아까 이런저런 이유로 트위터 바로 빠져나오기 어렵다 얘기들이 돌았는데 물론 그런 이유는 다 동의하는데, 트위터를 '구독전용'이나 '메신저전용' 등으로 의존해야 할 이유는 되겠지만 '리트윗'같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이유를 설명해주지는 않는 듯.

Chee Aun 🤔's avatar
Chee Aun 🤔

@cheeaun@mastodon.social

Scheduled posts API on Mastodon seems a bit rough.

1. Post payload is a bit different than published posts (ScheduledStatus docs.joinmastodon.org/entities vs Status docs.joinmastodon.org/entities)
2. There's API to reschedule & delete but no edit docs.joinmastodon.org/methods/

Looking back at the initial PR (github.com/mastodon/mastodon/p): "The scheduled date must be at least 5 minutes into the future. At most, 300 toots can be scheduled at the same time. Only 50 toots can be scheduled for any given day."

もちもちずきん :teto_zuho: 🍆's avatar
もちもちずきん :teto_zuho: 🍆

@Yohei_Zuho@mstdn.y-zu.org

まだリリースしてないので!!!
まだ!!!リリース!!!してない!!!ので!!!

もちもちずきん :teto_zuho: 🍆's avatar
もちもちずきん :teto_zuho: 🍆

@Yohei_Zuho@mstdn.y-zu.org

プロフ帳、リリースしたら動かないことが多くてアレ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使ってみたいけど、Holloでは動作しないらしい。Mastodon互換のAPIが有るので、Mastodonの方で試してみたが、下記の様なエラーが出る。😭

{"error":"invalid_scope","error_description":"The requested scope is invalid, unknown, or malformed."}

https://mstdn.y-zu.org/@Yohei_Zuho/114041386399979131

もちもちずきん :teto_zuho: 🍆's avatar
もちもちずきん :teto_zuho: 🍆

@Yohei_Zuho@mstdn.y-zu.org

でプロフィールカードを作成しました!
purofu.y-zu.org/view/card?id=4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一旦(일단) 첫 페이지랑 어카운트 프로필 페이지에 페이지네이션 붙였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聯合宇宙(연합우주)(fediverse)와 ActivityPub 프로토콜 理解(이해)하기: 開發者(개발자)()한 가이드〉라는 글을 作成(작성)해 보았습니다!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fediverse-guide-for-developers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연합우주란 무엇일까?

X(구 Twitter)나 Instagram 같은 중앙화된 소셜 미디어에 지치셨나요? 데이터 프라이버시, 알고리즘 추천, 그리고 끊임없는 광고가 걱정되시나요? 여기 대안이 있습니다. 바로 연합우주(fediverse)입니다.

페디버스(fediverse)는 “federated”(연합된)와 “universe”(우주)를 합친 말로, 한국어권에서는 주로 “연합우주”라고 불립니다. 연합우주는 하나의 거대한 플랫폼이 아닌, 서로 대화할 수 있는 독립적인 서버(인스턴스)들의 네트워크입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요? 바로 ActivityPub이라는 프로토콜 덕분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공통 언어 같은 것입니다.

연합우주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연합우주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이메일 시스템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Gmail 사용자가 네이버 메일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보낼 수 있는 것처럼, Mastodon 사용자는 Misskey나 PeerTube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Mastodon, Misskey, PeerTube가 무엇인지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Gmail과 네이버처럼 서로 다른 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이 서비스들이 모두 같은 언어인 ActivityPub 프로토콜로 대화하기 때문입니다.

연합우주에서 사용자 ID는 @사용자명@인스턴스.도메인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와 매우 비슷하죠? 예를 들면:

  • @honggildong@mastodon.social: mastodon.social 인스턴스 사용자
  • @kimcheolsu@pixelfed.social: pixelfed.social 인스턴스 사용자
  • @leeyeonghui@misskey.io: misskey.io 인스턴스 사용자

연합우주의 다양한 플랫폼 둘러보기

연합우주는 마치 여러 행성으로 이루어진 태양계 같습니다. 각 행성(플랫폼)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같은 우주(연합우주)에 속해 있죠. 아래 표에서 주요 플랫폼들을 살펴봅시다:

플랫폼 설명 주요 인스턴스 특징
Mastodon X(구 Twitter)와 유사한 마이크로블로깅 플랫폼 mastodon.social (공식 인스턴스)
우리.인생 (한국 중심)
500자 제한의 짧은 게시물, 해시태그, 컨텐츠 경고 기능
Misskey 일본에서 개발된 고도로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마이크로블로깅 플랫폼 misskey.io (가장 인기 있는 일본 인스턴스)
스텔라 (한국 중심)
리액션, 게임, 채팅 등 다양한 기능, 높은 커스터마이징 가능성
Pixelfed Instagram과 유사한 이미지 공유 플랫폼 pixelfed.social (공식 인스턴스)
추억:사진 (한국 중심)
스토리, 필터, 발견 기능
PeerTube YouTube와 유사한 비디오 호스팅 플랫폼 PeerTube.TV P2P 기술로 비디오 스트리밍, 채널, 재생목록
WriteFreely 미니멀한 블로그 플랫폼 write.as Markdown 지원, 심플한 디자인
Lemmy Reddit과 유사한 링크 애그리게이터 및 토론 플랫폼 lemmy.ml
YuruLemmy (한국 중심)
커뮤니티(서브레딧과 유사), 투표, 토론

플랫폼 vs 인스턴스: 무슨 차이가 있을까?

연합우주를 이해할 때 흔히 혼동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플랫폼(소프트웨어)과 인스턴스(서버)의 차이인데요.

플랫폼Mastodon, Misskey, Pixelfed와 같은 소프트웨어 자체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는 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개별 서버를 말합니다. mastodon.social우리.인생은 모두 Mastodon 플랫폼을 실행하는 별도의 인스턴스입니다.

Meta의 Threads 같은 일부 서비스는 플랫폼과 인스턴스가 동일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합우주 서비스는 여러 인스턴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합우주의 매력 포인트

연합우주가 갖는 몇 가지 매력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1. 탈중앙화: 특정 기업이 모든 데이터와 규칙을 통제하지 않습니다. 각 인스턴스는 자체 규칙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주권: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가질 수 있습니다.
  3. 검열 저항성: 한 인스턴스가 차단되더라도 다른 인스턴스로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4. 커뮤니티 중심: 각 인스턴스는 특정 관심사나 지역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형성됩니다.
  5. 다양성: 다양한 플랫폼과 인스턴스가 존재하여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연합우주 시작하기

연합우주에 참여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1. 자신의 관심사나 지역과 관련된 인스턴스를 선택합니다.
  2. 해당 인스턴스에 계정을 만듭니다.
  3. 다른 인스턴스의 사용자들을 팔로우하고 소통을 시작합니다!

한국 사용자라면 Mastodon 인스턴스인 우리.인생, Misskey 인스턴스인 스텔라 같은 한국어 중심 인스턴스를 추천합니다. 한국어 환경을 지원하고 한국 사용자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어 시작하기 좋습니다.

아니면 이 글이 올라온 Hackers' Pub도 괜찮습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을 위한 소셜 미디어랍니다. 아직 개발중이라 공개적으로 가입을 받고 있지는 않습니다만, 홍민희에게 연락 주시면 계정을 생성해 드릴 수 있습니다.

ActivityPub: 연합우주의 심장

이제 개발자 관점에서 ActivityPub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ActivityPub은 W3C에서 권장하는 표준 프로토콜로, 분산 소셜 네트워킹의 기반이 됩니다. ActivityStreams 2.0 데이터 형식을 기반으로 하며, 서로 다른 서버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ActivityPub의 핵심 개념

ActivityPub은 몇 가지 핵심 개념으로 구성됩니다:

  1. 액터(actor): 사용자, 그룹 등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주체입니다. 각 액터는 고유한 URL을 가지며, 수신함(inbox)과 발신함(outbox)을 가집니다.
  2. 액티비티(activity): 액터가 수행하는 행동으로, 게시물 작성, 댓글 좋아요, 다른 사용자 팔로우 등이 있습니다.
  3. 객체(object): 텍스트 게시물, 이미지, 비디오와 같이 생성되고 공유되는 콘텐츠입니다.

실제 작동 방식

홍길동(@honggildong@mastodon.social)이 게시물을 작성하고, 이영희(@leeyeonghui@misskey.io)가 이에 반응하는 과정을 살펴봅시다:

  1. 게시물 작성: 홍길동이 Mastodon에서 게시물을 작성합니다. Mastodon 서버는 이 게시물을 ActivityStreams 2.0 형식의 Create(Note) 액티비티로 변환합니다. 이 액티비티는 홍길동의 팔로워(이영희 포함)에게 전달됩니다.

  2. 게시물 수신: 이영희의 Misskey 서버는 이 액티비티를 받고 처리하여 이영희의 타임라인에 홍길동의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3. 상호작용: 이영희가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면, Misskey 서버는 Like(Note) 액티비티를 생성하여 홍길동의 Mastodon 서버로 보냅니다. 홍길동은 이영희가 자신의 게시물을 좋아했다는 알림을 받게 됩니다.

마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통역사를 통해 대화하는 것과 비슷하죠? ActivityPub이 바로 그 통역사 역할을 합니다.

ActivityPub의 실제 메시지 들여다보기

개발자로서 실제 ActivityPub 메시지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몇 가지 예시를 살펴봅시다:

1. 사용자 프로필(액터) 정보

{
  "@context":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https://w3id.org/security/v1"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type": "Person",
  "preferredUsername": "honggildong",
  "name": "홍길동",
  "summary": "연합우주의 개척자",
  "inbox":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inbox",
  "outbox":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outbox",
  "followers":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following":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ing",
  "publicKey":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main-key",
    "owner":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publicKeyPem": "-----BEGIN PUBLIC KEY-----\n...\n-----END PUBLIC KEY-----"
  },
  "icon": {
    "type": "Image",
    "mediaType": "image/jpeg",
    "url": "https://mastodon.social/system/accounts/avatars/000/000/001/original/avatar.jpg"
  }
}

이 JSON 데이터는 홍길동의 프로필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사용자 이름, 소개, 프로필 사진 URL, 그리고 중요한 inboxoutbox URL이 포함되어 있죠.

2. 게시물 작성 액티비티

{
  "@context":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statuses/123456/activity",
  "type": "Create",
  "actor":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published": "2025-02-21T14:30:00Z",
  "to":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Public"
  ],
  "cc": [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
  "object":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statuses/123456",
    "type": "Note",
    "content": "<p>연합우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fediverse #연합우주</p>",
    "published": "2025-02-21T14:30:00Z",
    "attributedTo":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to":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Public"
    ],
    "cc": [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
    "tag": [
      {
        "type": "Hashtag",
        "href": "https://mastodon.social/tags/fediverse",
        "name": "#fediverse"
      },
      {
        "type": "Hashtag",
        "href": "https://mastodon.social/tags/연합우주",
        "name": "#연합우주"
      }
    ]
  }
}

이것은 홍길동이 게시물을 작성했을 때 생성되는 Create(Note) 액티비티입니다. 게시물 내용, 해시태그, 공개 범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팔로우 액티비티

{
  "@context":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id":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follow/1234",
  "type": "Follow",
  "actor":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object":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

이영희가 홍길동을 팔로우할 때 생성되는 Follow 액티비티입니다. 단순하죠?

ActivityPub 서버 구현하기: 개발자를 위한 팁

직접 ActivityPub 서버를 구현하고 싶다면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1. 액터 구현: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ActivityStreams 형식으로 제공합니다.
  2. 수신함과 발신함 설정: HTTP 엔드포인트를 만들어 액티비티를 받고 전송합니다.
  3. 서명 및 인증: HTTP Signatures를 사용하여 요청을 서명하고 검증합니다.
  4. 액티비티 처리: 다양한 액티비티 유형(Create, Follow, Like 등)을 처리하는 로직을 구현합니다.
  5. 데이터 저장: 사용자, 게시물, 액티비티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6. 연합 정책 구현: 어떤 인스턴스와 연합할지, 어떤 컨텐츠를 허용할지 등을 설정합니다.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Mastodon, Misskey 같은 기존 구현체의 코드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처음부터 모든 것을 구현하는 것보다 Fedify 같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WebFinger: 사용자를 찾는 방법

연합우주에서 @leeyeonghui@misskey.io 같은 사용자 ID를 어떻게 실제 ActivityPub 액터 URL로 변환할까요? 그 비밀은 WebFinger 프로토콜에 있습니다:

GET https://misskey.io/.well-known/webfinger?resource=acct:leeyeonghui@misskey.io

이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다음과 같은 응답을 반환합니다:

{
  "subject": "acct:leeyeonghui@misskey.io",
  "links": [
    {
      "rel": "self",
      "type": "application/activity+json",
      "href":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
  ]
}

이제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URL을 통해 사용자의 전체 프로필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치 전화번호부에서 이름으로 전화번호를 찾는 것과 비슷하죠!

연합우주의 도전 과제와 미래

연합우주는 계속 성장하고 있지만, 몇 가지 도전 과제도 있습니다:

  1. 확장성: 수많은 서버 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2. 모더레이션: 각 인스턴스가 자체 규칙을 가지므로 콘텐츠 조정에 일관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3. 발견성: 중앙화된 플랫폼에 비해 새로운 사용자나 콘텐츠를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사용자 경험: 일부 플랫폼은 아직 UI/UX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Threads와 같은 주요 서비스들이 ActivityPub을 채택하기 시작하면서, 연합우주의 미래는 밝아 보입니다. 개발자로서, 이런 성장하는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마무리

연합우주와 ActivityPub은 중앙화된 소셜 미디어의 대안으로서 점점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더 많은 통제권을 부여하고, 다양하고 풍부한 온라인 경험을 제공하는 연합우주의 세계는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습니다.

개발자로서, 여러분은 이 새로운 탈중앙화된 웹의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ActivityPub 지원을 추가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거나, 현재의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한국 개발자들의 참여가 늘어나면 한국 사용자들을 위한 더 다양하고 풍부한 서비스가 생길 것이고, 이는 더 건강하고 다양한 인터넷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그럼, 연합우주로의 여행을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dansup's avatar
dansup

@dansup@mastodon.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hongminhee @syuilo Oh right, yeah I always forget them because they don't publish MAU.

Much respect to syuilo, he is a rockstar developer, and a huge inspiration to me!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dansup's post

@dansup Misskey is also one of the largest fediverse platforms, which is developed by @syuilo, a Japanese software engineer.

dansup's avatar
dansup

@dansup@mastodon.social

You know what's cool about the fediverse?

Unlike most social media platforms, it exists largely outside of the USA.

The 3 largest fediverse platforms were created by 2 germans and 1 canadian.

Not just that, but you have people like @aral building small-tech.org/ and dozens of other builders across the world.

The fediverse knows no borders, and in dire times like these,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 wish I could say the same for Bluesky.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このアルバムで一番好きな曲を挙げるとしたら、4番目のトラック「SEPTEMBER RAIN」。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s post

@kodingwarrior 드래프트 ID에 매달아 두고, 드래프트가 삭제될 때 같이 지워지게 한다든가 해야겠네요.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s post

@kodingwarrior 일단은 이미지 업로드는 GitHub 이슈에서 이미지 올리는 느낌으로 하면 되려나요? (드래그 앤 드롭?)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Hackers' Pub, 뭐부터 만들어야 할까?

OptionVoters
첫 페이지에 페이지네이션 없는 것 (모든 글이 한 페이지에 다 뜸) 고치기1 (50%)
커스텀 繪文字(에모지) 보여주기1 (50%)
좋아요 및 繪文字(에모지) 리액션0 (0%)
아바타(프로필 寫眞) 업로드0 (0%)
알림0 (0%)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s avatar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

@kodingwarrior@silicon.moe

hackerspub에 컨텐츠를 채워야 한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I just wrote Understanding Fediverse and ActivityPub Protocol: Developers' Guide in Korean: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fediverse-guide-for-developers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연합우주란 무엇일까?

X(구 Twitter)나 Instagram 같은 중앙화된 소셜 미디어에 지치셨나요? 데이터 프라이버시, 알고리즘 추천, 그리고 끊임없는 광고가 걱정되시나요? 여기 대안이 있습니다. 바로 연합우주(fediverse)입니다.

페디버스(fediverse)는 “federated”(연합된)와 “universe”(우주)를 합친 말로, 한국어권에서는 주로 “연합우주”라고 불립니다. 연합우주는 하나의 거대한 플랫폼이 아닌, 서로 대화할 수 있는 독립적인 서버(인스턴스)들의 네트워크입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요? 바로 ActivityPub이라는 프로토콜 덕분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공통 언어 같은 것입니다.

연합우주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연합우주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이메일 시스템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Gmail 사용자가 네이버 메일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보낼 수 있는 것처럼, Mastodon 사용자는 Misskey나 PeerTube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Mastodon, Misskey, PeerTube가 무엇인지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Gmail과 네이버처럼 서로 다른 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이 서비스들이 모두 같은 언어인 ActivityPub 프로토콜로 대화하기 때문입니다.

연합우주에서 사용자 ID는 @사용자명@인스턴스.도메인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와 매우 비슷하죠? 예를 들면:

  • @honggildong@mastodon.social: mastodon.social 인스턴스 사용자
  • @kimcheolsu@pixelfed.social: pixelfed.social 인스턴스 사용자
  • @leeyeonghui@misskey.io: misskey.io 인스턴스 사용자

연합우주의 다양한 플랫폼 둘러보기

연합우주는 마치 여러 행성으로 이루어진 태양계 같습니다. 각 행성(플랫폼)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같은 우주(연합우주)에 속해 있죠. 아래 표에서 주요 플랫폼들을 살펴봅시다:

플랫폼 설명 주요 인스턴스 특징
Mastodon X(구 Twitter)와 유사한 마이크로블로깅 플랫폼 mastodon.social (공식 인스턴스)
우리.인생 (한국 중심)
500자 제한의 짧은 게시물, 해시태그, 컨텐츠 경고 기능
Misskey 일본에서 개발된 고도로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마이크로블로깅 플랫폼 misskey.io (가장 인기 있는 일본 인스턴스)
스텔라 (한국 중심)
리액션, 게임, 채팅 등 다양한 기능, 높은 커스터마이징 가능성
Pixelfed Instagram과 유사한 이미지 공유 플랫폼 pixelfed.social (공식 인스턴스)
추억:사진 (한국 중심)
스토리, 필터, 발견 기능
PeerTube YouTube와 유사한 비디오 호스팅 플랫폼 PeerTube.TV P2P 기술로 비디오 스트리밍, 채널, 재생목록
WriteFreely 미니멀한 블로그 플랫폼 write.as Markdown 지원, 심플한 디자인
Lemmy Reddit과 유사한 링크 애그리게이터 및 토론 플랫폼 lemmy.ml
YuruLemmy (한국 중심)
커뮤니티(서브레딧과 유사), 투표, 토론

플랫폼 vs 인스턴스: 무슨 차이가 있을까?

연합우주를 이해할 때 흔히 혼동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플랫폼(소프트웨어)과 인스턴스(서버)의 차이인데요.

플랫폼Mastodon, Misskey, Pixelfed와 같은 소프트웨어 자체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는 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개별 서버를 말합니다. mastodon.social우리.인생은 모두 Mastodon 플랫폼을 실행하는 별도의 인스턴스입니다.

Meta의 Threads 같은 일부 서비스는 플랫폼과 인스턴스가 동일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합우주 서비스는 여러 인스턴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합우주의 매력 포인트

연합우주가 갖는 몇 가지 매력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1. 탈중앙화: 특정 기업이 모든 데이터와 규칙을 통제하지 않습니다. 각 인스턴스는 자체 규칙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주권: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가질 수 있습니다.
  3. 검열 저항성: 한 인스턴스가 차단되더라도 다른 인스턴스로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4. 커뮤니티 중심: 각 인스턴스는 특정 관심사나 지역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형성됩니다.
  5. 다양성: 다양한 플랫폼과 인스턴스가 존재하여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연합우주 시작하기

연합우주에 참여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1. 자신의 관심사나 지역과 관련된 인스턴스를 선택합니다.
  2. 해당 인스턴스에 계정을 만듭니다.
  3. 다른 인스턴스의 사용자들을 팔로우하고 소통을 시작합니다!

한국 사용자라면 Mastodon 인스턴스인 우리.인생, Misskey 인스턴스인 스텔라 같은 한국어 중심 인스턴스를 추천합니다. 한국어 환경을 지원하고 한국 사용자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어 시작하기 좋습니다.

아니면 이 글이 올라온 Hackers' Pub도 괜찮습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을 위한 소셜 미디어랍니다. 아직 개발중이라 공개적으로 가입을 받고 있지는 않습니다만, 홍민희에게 연락 주시면 계정을 생성해 드릴 수 있습니다.

ActivityPub: 연합우주의 심장

이제 개발자 관점에서 ActivityPub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ActivityPub은 W3C에서 권장하는 표준 프로토콜로, 분산 소셜 네트워킹의 기반이 됩니다. ActivityStreams 2.0 데이터 형식을 기반으로 하며, 서로 다른 서버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ActivityPub의 핵심 개념

ActivityPub은 몇 가지 핵심 개념으로 구성됩니다:

  1. 액터(actor): 사용자, 그룹 등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주체입니다. 각 액터는 고유한 URL을 가지며, 수신함(inbox)과 발신함(outbox)을 가집니다.
  2. 액티비티(activity): 액터가 수행하는 행동으로, 게시물 작성, 댓글 좋아요, 다른 사용자 팔로우 등이 있습니다.
  3. 객체(object): 텍스트 게시물, 이미지, 비디오와 같이 생성되고 공유되는 콘텐츠입니다.

실제 작동 방식

홍길동(@honggildong@mastodon.social)이 게시물을 작성하고, 이영희(@leeyeonghui@misskey.io)가 이에 반응하는 과정을 살펴봅시다:

  1. 게시물 작성: 홍길동이 Mastodon에서 게시물을 작성합니다. Mastodon 서버는 이 게시물을 ActivityStreams 2.0 형식의 Create(Note) 액티비티로 변환합니다. 이 액티비티는 홍길동의 팔로워(이영희 포함)에게 전달됩니다.

  2. 게시물 수신: 이영희의 Misskey 서버는 이 액티비티를 받고 처리하여 이영희의 타임라인에 홍길동의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3. 상호작용: 이영희가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면, Misskey 서버는 Like(Note) 액티비티를 생성하여 홍길동의 Mastodon 서버로 보냅니다. 홍길동은 이영희가 자신의 게시물을 좋아했다는 알림을 받게 됩니다.

마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통역사를 통해 대화하는 것과 비슷하죠? ActivityPub이 바로 그 통역사 역할을 합니다.

ActivityPub의 실제 메시지 들여다보기

개발자로서 실제 ActivityPub 메시지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몇 가지 예시를 살펴봅시다:

1. 사용자 프로필(액터) 정보

{
  "@context":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https://w3id.org/security/v1"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type": "Person",
  "preferredUsername": "honggildong",
  "name": "홍길동",
  "summary": "연합우주의 개척자",
  "inbox":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inbox",
  "outbox":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outbox",
  "followers":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following":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ing",
  "publicKey":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main-key",
    "owner":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publicKeyPem": "-----BEGIN PUBLIC KEY-----\n...\n-----END PUBLIC KEY-----"
  },
  "icon": {
    "type": "Image",
    "mediaType": "image/jpeg",
    "url": "https://mastodon.social/system/accounts/avatars/000/000/001/original/avatar.jpg"
  }
}

이 JSON 데이터는 홍길동의 프로필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사용자 이름, 소개, 프로필 사진 URL, 그리고 중요한 inboxoutbox URL이 포함되어 있죠.

2. 게시물 작성 액티비티

{
  "@context":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statuses/123456/activity",
  "type": "Create",
  "actor":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published": "2025-02-21T14:30:00Z",
  "to":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Public"
  ],
  "cc": [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
  "object":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statuses/123456",
    "type": "Note",
    "content": "<p>연합우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fediverse #연합우주</p>",
    "published": "2025-02-21T14:30:00Z",
    "attributedTo":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to":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Public"
    ],
    "cc": [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
    "tag": [
      {
        "type": "Hashtag",
        "href": "https://mastodon.social/tags/fediverse",
        "name": "#fediverse"
      },
      {
        "type": "Hashtag",
        "href": "https://mastodon.social/tags/연합우주",
        "name": "#연합우주"
      }
    ]
  }
}

이것은 홍길동이 게시물을 작성했을 때 생성되는 Create(Note) 액티비티입니다. 게시물 내용, 해시태그, 공개 범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팔로우 액티비티

{
  "@context":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id":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follow/1234",
  "type": "Follow",
  "actor":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object":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

이영희가 홍길동을 팔로우할 때 생성되는 Follow 액티비티입니다. 단순하죠?

ActivityPub 서버 구현하기: 개발자를 위한 팁

직접 ActivityPub 서버를 구현하고 싶다면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1. 액터 구현: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ActivityStreams 형식으로 제공합니다.
  2. 수신함과 발신함 설정: HTTP 엔드포인트를 만들어 액티비티를 받고 전송합니다.
  3. 서명 및 인증: HTTP Signatures를 사용하여 요청을 서명하고 검증합니다.
  4. 액티비티 처리: 다양한 액티비티 유형(Create, Follow, Like 등)을 처리하는 로직을 구현합니다.
  5. 데이터 저장: 사용자, 게시물, 액티비티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6. 연합 정책 구현: 어떤 인스턴스와 연합할지, 어떤 컨텐츠를 허용할지 등을 설정합니다.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Mastodon, Misskey 같은 기존 구현체의 코드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처음부터 모든 것을 구현하는 것보다 Fedify 같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WebFinger: 사용자를 찾는 방법

연합우주에서 @leeyeonghui@misskey.io 같은 사용자 ID를 어떻게 실제 ActivityPub 액터 URL로 변환할까요? 그 비밀은 WebFinger 프로토콜에 있습니다:

GET https://misskey.io/.well-known/webfinger?resource=acct:leeyeonghui@misskey.io

이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다음과 같은 응답을 반환합니다:

{
  "subject": "acct:leeyeonghui@misskey.io",
  "links": [
    {
      "rel": "self",
      "type": "application/activity+json",
      "href":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
  ]
}

이제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URL을 통해 사용자의 전체 프로필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치 전화번호부에서 이름으로 전화번호를 찾는 것과 비슷하죠!

연합우주의 도전 과제와 미래

연합우주는 계속 성장하고 있지만, 몇 가지 도전 과제도 있습니다:

  1. 확장성: 수많은 서버 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2. 모더레이션: 각 인스턴스가 자체 규칙을 가지므로 콘텐츠 조정에 일관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3. 발견성: 중앙화된 플랫폼에 비해 새로운 사용자나 콘텐츠를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사용자 경험: 일부 플랫폼은 아직 UI/UX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Threads와 같은 주요 서비스들이 ActivityPub을 채택하기 시작하면서, 연합우주의 미래는 밝아 보입니다. 개발자로서, 이런 성장하는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마무리

연합우주와 ActivityPub은 중앙화된 소셜 미디어의 대안으로서 점점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더 많은 통제권을 부여하고, 다양하고 풍부한 온라인 경험을 제공하는 연합우주의 세계는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습니다.

개발자로서, 여러분은 이 새로운 탈중앙화된 웹의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ActivityPub 지원을 추가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거나, 현재의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한국 개발자들의 참여가 늘어나면 한국 사용자들을 위한 더 다양하고 풍부한 서비스가 생길 것이고, 이는 더 건강하고 다양한 인터넷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그럼, 연합우주로의 여행을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聯合宇宙(연합우주)(fediverse)와 ActivityPub 프로토콜 理解(이해)하기: 開發者(개발자)()한 가이드〉라는 글을 作成(작성)해 보았습니다!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fediverse-guide-for-developers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연합우주란 무엇일까?

X(구 Twitter)나 Instagram 같은 중앙화된 소셜 미디어에 지치셨나요? 데이터 프라이버시, 알고리즘 추천, 그리고 끊임없는 광고가 걱정되시나요? 여기 대안이 있습니다. 바로 연합우주(fediverse)입니다.

페디버스(fediverse)는 “federated”(연합된)와 “universe”(우주)를 합친 말로, 한국어권에서는 주로 “연합우주”라고 불립니다. 연합우주는 하나의 거대한 플랫폼이 아닌, 서로 대화할 수 있는 독립적인 서버(인스턴스)들의 네트워크입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요? 바로 ActivityPub이라는 프로토콜 덕분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공통 언어 같은 것입니다.

연합우주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연합우주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이메일 시스템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Gmail 사용자가 네이버 메일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보낼 수 있는 것처럼, Mastodon 사용자는 Misskey나 PeerTube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Mastodon, Misskey, PeerTube가 무엇인지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Gmail과 네이버처럼 서로 다른 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이 서비스들이 모두 같은 언어인 ActivityPub 프로토콜로 대화하기 때문입니다.

연합우주에서 사용자 ID는 @사용자명@인스턴스.도메인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와 매우 비슷하죠? 예를 들면:

  • @honggildong@mastodon.social: mastodon.social 인스턴스 사용자
  • @kimcheolsu@pixelfed.social: pixelfed.social 인스턴스 사용자
  • @leeyeonghui@misskey.io: misskey.io 인스턴스 사용자

연합우주의 다양한 플랫폼 둘러보기

연합우주는 마치 여러 행성으로 이루어진 태양계 같습니다. 각 행성(플랫폼)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같은 우주(연합우주)에 속해 있죠. 아래 표에서 주요 플랫폼들을 살펴봅시다:

플랫폼 설명 주요 인스턴스 특징
Mastodon X(구 Twitter)와 유사한 마이크로블로깅 플랫폼 mastodon.social (공식 인스턴스)
우리.인생 (한국 중심)
500자 제한의 짧은 게시물, 해시태그, 컨텐츠 경고 기능
Misskey 일본에서 개발된 고도로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마이크로블로깅 플랫폼 misskey.io (가장 인기 있는 일본 인스턴스)
스텔라 (한국 중심)
리액션, 게임, 채팅 등 다양한 기능, 높은 커스터마이징 가능성
Pixelfed Instagram과 유사한 이미지 공유 플랫폼 pixelfed.social (공식 인스턴스)
추억:사진 (한국 중심)
스토리, 필터, 발견 기능
PeerTube YouTube와 유사한 비디오 호스팅 플랫폼 PeerTube.TV P2P 기술로 비디오 스트리밍, 채널, 재생목록
WriteFreely 미니멀한 블로그 플랫폼 write.as Markdown 지원, 심플한 디자인
Lemmy Reddit과 유사한 링크 애그리게이터 및 토론 플랫폼 lemmy.ml
YuruLemmy (한국 중심)
커뮤니티(서브레딧과 유사), 투표, 토론

플랫폼 vs 인스턴스: 무슨 차이가 있을까?

연합우주를 이해할 때 흔히 혼동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플랫폼(소프트웨어)과 인스턴스(서버)의 차이인데요.

플랫폼Mastodon, Misskey, Pixelfed와 같은 소프트웨어 자체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는 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개별 서버를 말합니다. mastodon.social우리.인생은 모두 Mastodon 플랫폼을 실행하는 별도의 인스턴스입니다.

Meta의 Threads 같은 일부 서비스는 플랫폼과 인스턴스가 동일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합우주 서비스는 여러 인스턴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합우주의 매력 포인트

연합우주가 갖는 몇 가지 매력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1. 탈중앙화: 특정 기업이 모든 데이터와 규칙을 통제하지 않습니다. 각 인스턴스는 자체 규칙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주권: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가질 수 있습니다.
  3. 검열 저항성: 한 인스턴스가 차단되더라도 다른 인스턴스로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4. 커뮤니티 중심: 각 인스턴스는 특정 관심사나 지역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형성됩니다.
  5. 다양성: 다양한 플랫폼과 인스턴스가 존재하여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연합우주 시작하기

연합우주에 참여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1. 자신의 관심사나 지역과 관련된 인스턴스를 선택합니다.
  2. 해당 인스턴스에 계정을 만듭니다.
  3. 다른 인스턴스의 사용자들을 팔로우하고 소통을 시작합니다!

한국 사용자라면 Mastodon 인스턴스인 우리.인생, Misskey 인스턴스인 스텔라 같은 한국어 중심 인스턴스를 추천합니다. 한국어 환경을 지원하고 한국 사용자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어 시작하기 좋습니다.

아니면 이 글이 올라온 Hackers' Pub도 괜찮습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을 위한 소셜 미디어랍니다. 아직 개발중이라 공개적으로 가입을 받고 있지는 않습니다만, 홍민희에게 연락 주시면 계정을 생성해 드릴 수 있습니다.

ActivityPub: 연합우주의 심장

이제 개발자 관점에서 ActivityPub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ActivityPub은 W3C에서 권장하는 표준 프로토콜로, 분산 소셜 네트워킹의 기반이 됩니다. ActivityStreams 2.0 데이터 형식을 기반으로 하며, 서로 다른 서버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ActivityPub의 핵심 개념

ActivityPub은 몇 가지 핵심 개념으로 구성됩니다:

  1. 액터(actor): 사용자, 그룹 등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주체입니다. 각 액터는 고유한 URL을 가지며, 수신함(inbox)과 발신함(outbox)을 가집니다.
  2. 액티비티(activity): 액터가 수행하는 행동으로, 게시물 작성, 댓글 좋아요, 다른 사용자 팔로우 등이 있습니다.
  3. 객체(object): 텍스트 게시물, 이미지, 비디오와 같이 생성되고 공유되는 콘텐츠입니다.

실제 작동 방식

홍길동(@honggildong@mastodon.social)이 게시물을 작성하고, 이영희(@leeyeonghui@misskey.io)가 이에 반응하는 과정을 살펴봅시다:

  1. 게시물 작성: 홍길동이 Mastodon에서 게시물을 작성합니다. Mastodon 서버는 이 게시물을 ActivityStreams 2.0 형식의 Create(Note) 액티비티로 변환합니다. 이 액티비티는 홍길동의 팔로워(이영희 포함)에게 전달됩니다.

  2. 게시물 수신: 이영희의 Misskey 서버는 이 액티비티를 받고 처리하여 이영희의 타임라인에 홍길동의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3. 상호작용: 이영희가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면, Misskey 서버는 Like(Note) 액티비티를 생성하여 홍길동의 Mastodon 서버로 보냅니다. 홍길동은 이영희가 자신의 게시물을 좋아했다는 알림을 받게 됩니다.

마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통역사를 통해 대화하는 것과 비슷하죠? ActivityPub이 바로 그 통역사 역할을 합니다.

ActivityPub의 실제 메시지 들여다보기

개발자로서 실제 ActivityPub 메시지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몇 가지 예시를 살펴봅시다:

1. 사용자 프로필(액터) 정보

{
  "@context":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https://w3id.org/security/v1"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type": "Person",
  "preferredUsername": "honggildong",
  "name": "홍길동",
  "summary": "연합우주의 개척자",
  "inbox":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inbox",
  "outbox":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outbox",
  "followers":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following":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ing",
  "publicKey":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main-key",
    "owner":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publicKeyPem": "-----BEGIN PUBLIC KEY-----\n...\n-----END PUBLIC KEY-----"
  },
  "icon": {
    "type": "Image",
    "mediaType": "image/jpeg",
    "url": "https://mastodon.social/system/accounts/avatars/000/000/001/original/avatar.jpg"
  }
}

이 JSON 데이터는 홍길동의 프로필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사용자 이름, 소개, 프로필 사진 URL, 그리고 중요한 inboxoutbox URL이 포함되어 있죠.

2. 게시물 작성 액티비티

{
  "@context":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statuses/123456/activity",
  "type": "Create",
  "actor":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published": "2025-02-21T14:30:00Z",
  "to":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Public"
  ],
  "cc": [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
  "object":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statuses/123456",
    "type": "Note",
    "content": "<p>연합우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fediverse #연합우주</p>",
    "published": "2025-02-21T14:30:00Z",
    "attributedTo":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to":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Public"
    ],
    "cc": [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
    "tag": [
      {
        "type": "Hashtag",
        "href": "https://mastodon.social/tags/fediverse",
        "name": "#fediverse"
      },
      {
        "type": "Hashtag",
        "href": "https://mastodon.social/tags/연합우주",
        "name": "#연합우주"
      }
    ]
  }
}

이것은 홍길동이 게시물을 작성했을 때 생성되는 Create(Note) 액티비티입니다. 게시물 내용, 해시태그, 공개 범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팔로우 액티비티

{
  "@context":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id":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follow/1234",
  "type": "Follow",
  "actor":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object":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

이영희가 홍길동을 팔로우할 때 생성되는 Follow 액티비티입니다. 단순하죠?

ActivityPub 서버 구현하기: 개발자를 위한 팁

직접 ActivityPub 서버를 구현하고 싶다면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1. 액터 구현: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ActivityStreams 형식으로 제공합니다.
  2. 수신함과 발신함 설정: HTTP 엔드포인트를 만들어 액티비티를 받고 전송합니다.
  3. 서명 및 인증: HTTP Signatures를 사용하여 요청을 서명하고 검증합니다.
  4. 액티비티 처리: 다양한 액티비티 유형(Create, Follow, Like 등)을 처리하는 로직을 구현합니다.
  5. 데이터 저장: 사용자, 게시물, 액티비티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6. 연합 정책 구현: 어떤 인스턴스와 연합할지, 어떤 컨텐츠를 허용할지 등을 설정합니다.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Mastodon, Misskey 같은 기존 구현체의 코드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처음부터 모든 것을 구현하는 것보다 Fedify 같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WebFinger: 사용자를 찾는 방법

연합우주에서 @leeyeonghui@misskey.io 같은 사용자 ID를 어떻게 실제 ActivityPub 액터 URL로 변환할까요? 그 비밀은 WebFinger 프로토콜에 있습니다:

GET https://misskey.io/.well-known/webfinger?resource=acct:leeyeonghui@misskey.io

이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다음과 같은 응답을 반환합니다:

{
  "subject": "acct:leeyeonghui@misskey.io",
  "links": [
    {
      "rel": "self",
      "type": "application/activity+json",
      "href":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
  ]
}

이제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URL을 통해 사용자의 전체 프로필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치 전화번호부에서 이름으로 전화번호를 찾는 것과 비슷하죠!

연합우주의 도전 과제와 미래

연합우주는 계속 성장하고 있지만, 몇 가지 도전 과제도 있습니다:

  1. 확장성: 수많은 서버 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2. 모더레이션: 각 인스턴스가 자체 규칙을 가지므로 콘텐츠 조정에 일관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3. 발견성: 중앙화된 플랫폼에 비해 새로운 사용자나 콘텐츠를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사용자 경험: 일부 플랫폼은 아직 UI/UX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Threads와 같은 주요 서비스들이 ActivityPub을 채택하기 시작하면서, 연합우주의 미래는 밝아 보입니다. 개발자로서, 이런 성장하는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마무리

연합우주와 ActivityPub은 중앙화된 소셜 미디어의 대안으로서 점점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더 많은 통제권을 부여하고, 다양하고 풍부한 온라인 경험을 제공하는 연합우주의 세계는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습니다.

개발자로서, 여러분은 이 새로운 탈중앙화된 웹의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ActivityPub 지원을 추가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거나, 현재의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한국 개발자들의 참여가 늘어나면 한국 사용자들을 위한 더 다양하고 풍부한 서비스가 생길 것이고, 이는 더 건강하고 다양한 인터넷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그럼, 연합우주로의 여행을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연합우주란 무엇일까?

X(구 Twitter)나 Instagram 같은 중앙화된 소셜 미디어에 지치셨나요? 데이터 프라이버시, 알고리즘 추천, 그리고 끊임없는 광고가 걱정되시나요? 여기 대안이 있습니다. 바로 연합우주(fediverse)입니다.

페디버스(fediverse)는 “federated”(연합된)와 “universe”(우주)를 합친 말로, 한국어권에서는 주로 “연합우주”라고 불립니다. 연합우주는 하나의 거대한 플랫폼이 아닌, 서로 대화할 수 있는 독립적인 서버(인스턴스)들의 네트워크입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요? 바로 ActivityPub이라는 프로토콜 덕분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공통 언어 같은 것입니다.

연합우주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연합우주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이메일 시스템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Gmail 사용자가 네이버 메일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보낼 수 있는 것처럼, Mastodon 사용자는 Misskey나 PeerTube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Mastodon, Misskey, PeerTube가 무엇인지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Gmail과 네이버처럼 서로 다른 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이 서비스들이 모두 같은 언어인 ActivityPub 프로토콜로 대화하기 때문입니다.

연합우주에서 사용자 ID는 @사용자명@인스턴스.도메인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와 매우 비슷하죠? 예를 들면:

  • @honggildong@mastodon.social: mastodon.social 인스턴스 사용자
  • @kimcheolsu@pixelfed.social: pixelfed.social 인스턴스 사용자
  • @leeyeonghui@misskey.io: misskey.io 인스턴스 사용자

연합우주의 다양한 플랫폼 둘러보기

연합우주는 마치 여러 행성으로 이루어진 태양계 같습니다. 각 행성(플랫폼)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같은 우주(연합우주)에 속해 있죠. 아래 표에서 주요 플랫폼들을 살펴봅시다:

플랫폼 설명 주요 인스턴스 특징
Mastodon X(구 Twitter)와 유사한 마이크로블로깅 플랫폼 mastodon.social (공식 인스턴스)
우리.인생 (한국 중심)
500자 제한의 짧은 게시물, 해시태그, 컨텐츠 경고 기능
Misskey 일본에서 개발된 고도로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마이크로블로깅 플랫폼 misskey.io (가장 인기 있는 일본 인스턴스)
스텔라 (한국 중심)
리액션, 게임, 채팅 등 다양한 기능, 높은 커스터마이징 가능성
Pixelfed Instagram과 유사한 이미지 공유 플랫폼 pixelfed.social (공식 인스턴스)
추억:사진 (한국 중심)
스토리, 필터, 발견 기능
PeerTube YouTube와 유사한 비디오 호스팅 플랫폼 PeerTube.TV P2P 기술로 비디오 스트리밍, 채널, 재생목록
WriteFreely 미니멀한 블로그 플랫폼 write.as Markdown 지원, 심플한 디자인
Lemmy Reddit과 유사한 링크 애그리게이터 및 토론 플랫폼 lemmy.ml
YuruLemmy (한국 중심)
커뮤니티(서브레딧과 유사), 투표, 토론

플랫폼 vs 인스턴스: 무슨 차이가 있을까?

연합우주를 이해할 때 흔히 혼동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플랫폼(소프트웨어)과 인스턴스(서버)의 차이인데요.

플랫폼Mastodon, Misskey, Pixelfed와 같은 소프트웨어 자체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는 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개별 서버를 말합니다. mastodon.social우리.인생은 모두 Mastodon 플랫폼을 실행하는 별도의 인스턴스입니다.

Meta의 Threads 같은 일부 서비스는 플랫폼과 인스턴스가 동일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합우주 서비스는 여러 인스턴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합우주의 매력 포인트

연합우주가 갖는 몇 가지 매력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1. 탈중앙화: 특정 기업이 모든 데이터와 규칙을 통제하지 않습니다. 각 인스턴스는 자체 규칙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주권: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가질 수 있습니다.
  3. 검열 저항성: 한 인스턴스가 차단되더라도 다른 인스턴스로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4. 커뮤니티 중심: 각 인스턴스는 특정 관심사나 지역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형성됩니다.
  5. 다양성: 다양한 플랫폼과 인스턴스가 존재하여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연합우주 시작하기

연합우주에 참여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1. 자신의 관심사나 지역과 관련된 인스턴스를 선택합니다.
  2. 해당 인스턴스에 계정을 만듭니다.
  3. 다른 인스턴스의 사용자들을 팔로우하고 소통을 시작합니다!

한국 사용자라면 Mastodon 인스턴스인 우리.인생, Misskey 인스턴스인 스텔라 같은 한국어 중심 인스턴스를 추천합니다. 한국어 환경을 지원하고 한국 사용자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어 시작하기 좋습니다.

아니면 이 글이 올라온 Hackers' Pub도 괜찮습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을 위한 소셜 미디어랍니다. 아직 개발중이라 공개적으로 가입을 받고 있지는 않습니다만, 홍민희에게 연락 주시면 계정을 생성해 드릴 수 있습니다.

ActivityPub: 연합우주의 심장

이제 개발자 관점에서 ActivityPub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ActivityPub은 W3C에서 권장하는 표준 프로토콜로, 분산 소셜 네트워킹의 기반이 됩니다. ActivityStreams 2.0 데이터 형식을 기반으로 하며, 서로 다른 서버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ActivityPub의 핵심 개념

ActivityPub은 몇 가지 핵심 개념으로 구성됩니다:

  1. 액터(actor): 사용자, 그룹 등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주체입니다. 각 액터는 고유한 URL을 가지며, 수신함(inbox)과 발신함(outbox)을 가집니다.
  2. 액티비티(activity): 액터가 수행하는 행동으로, 게시물 작성, 댓글 좋아요, 다른 사용자 팔로우 등이 있습니다.
  3. 객체(object): 텍스트 게시물, 이미지, 비디오와 같이 생성되고 공유되는 콘텐츠입니다.

실제 작동 방식

홍길동(@honggildong@mastodon.social)이 게시물을 작성하고, 이영희(@leeyeonghui@misskey.io)가 이에 반응하는 과정을 살펴봅시다:

  1. 게시물 작성: 홍길동이 Mastodon에서 게시물을 작성합니다. Mastodon 서버는 이 게시물을 ActivityStreams 2.0 형식의 Create(Note) 액티비티로 변환합니다. 이 액티비티는 홍길동의 팔로워(이영희 포함)에게 전달됩니다.

  2. 게시물 수신: 이영희의 Misskey 서버는 이 액티비티를 받고 처리하여 이영희의 타임라인에 홍길동의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3. 상호작용: 이영희가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면, Misskey 서버는 Like(Note) 액티비티를 생성하여 홍길동의 Mastodon 서버로 보냅니다. 홍길동은 이영희가 자신의 게시물을 좋아했다는 알림을 받게 됩니다.

마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통역사를 통해 대화하는 것과 비슷하죠? ActivityPub이 바로 그 통역사 역할을 합니다.

ActivityPub의 실제 메시지 들여다보기

개발자로서 실제 ActivityPub 메시지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몇 가지 예시를 살펴봅시다:

1. 사용자 프로필(액터) 정보

{
  "@context":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https://w3id.org/security/v1"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type": "Person",
  "preferredUsername": "honggildong",
  "name": "홍길동",
  "summary": "연합우주의 개척자",
  "inbox":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inbox",
  "outbox":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outbox",
  "followers":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following":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ing",
  "publicKey":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main-key",
    "owner":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publicKeyPem": "-----BEGIN PUBLIC KEY-----\n...\n-----END PUBLIC KEY-----"
  },
  "icon": {
    "type": "Image",
    "mediaType": "image/jpeg",
    "url": "https://mastodon.social/system/accounts/avatars/000/000/001/original/avatar.jpg"
  }
}

이 JSON 데이터는 홍길동의 프로필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사용자 이름, 소개, 프로필 사진 URL, 그리고 중요한 inboxoutbox URL이 포함되어 있죠.

2. 게시물 작성 액티비티

{
  "@context":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statuses/123456/activity",
  "type": "Create",
  "actor":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published": "2025-02-21T14:30:00Z",
  "to":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Public"
  ],
  "cc": [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
  "object": {
    "id":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statuses/123456",
    "type": "Note",
    "content": "<p>연합우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fediverse #연합우주</p>",
    "published": "2025-02-21T14:30:00Z",
    "attributedTo":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to": [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Public"
    ],
    "cc": [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followers"
    ],
    "tag": [
      {
        "type": "Hashtag",
        "href": "https://mastodon.social/tags/fediverse",
        "name": "#fediverse"
      },
      {
        "type": "Hashtag",
        "href": "https://mastodon.social/tags/연합우주",
        "name": "#연합우주"
      }
    ]
  }
}

이것은 홍길동이 게시물을 작성했을 때 생성되는 Create(Note) 액티비티입니다. 게시물 내용, 해시태그, 공개 범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팔로우 액티비티

{
  "@context": "https://www.w3.org/ns/activitystreams",
  "id":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follow/1234",
  "type": "Follow",
  "actor":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object": "https://mastodon.social/users/honggildong"
}

이영희가 홍길동을 팔로우할 때 생성되는 Follow 액티비티입니다. 단순하죠?

ActivityPub 서버 구현하기: 개발자를 위한 팁

직접 ActivityPub 서버를 구현하고 싶다면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1. 액터 구현: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ActivityStreams 형식으로 제공합니다.
  2. 수신함과 발신함 설정: HTTP 엔드포인트를 만들어 액티비티를 받고 전송합니다.
  3. 서명 및 인증: HTTP Signatures를 사용하여 요청을 서명하고 검증합니다.
  4. 액티비티 처리: 다양한 액티비티 유형(Create, Follow, Like 등)을 처리하는 로직을 구현합니다.
  5. 데이터 저장: 사용자, 게시물, 액티비티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6. 연합 정책 구현: 어떤 인스턴스와 연합할지, 어떤 컨텐츠를 허용할지 등을 설정합니다.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Mastodon, Misskey 같은 기존 구현체의 코드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처음부터 모든 것을 구현하는 것보다 Fedify 같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WebFinger: 사용자를 찾는 방법

연합우주에서 @leeyeonghui@misskey.io 같은 사용자 ID를 어떻게 실제 ActivityPub 액터 URL로 변환할까요? 그 비밀은 WebFinger 프로토콜에 있습니다:

GET https://misskey.io/.well-known/webfinger?resource=acct:leeyeonghui@misskey.io

이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다음과 같은 응답을 반환합니다:

{
  "subject": "acct:leeyeonghui@misskey.io",
  "links": [
    {
      "rel": "self",
      "type": "application/activity+json",
      "href":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
  ]
}

이제 https://misskey.io/users/leeyeonghui URL을 통해 사용자의 전체 프로필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치 전화번호부에서 이름으로 전화번호를 찾는 것과 비슷하죠!

연합우주의 도전 과제와 미래

연합우주는 계속 성장하고 있지만, 몇 가지 도전 과제도 있습니다:

  1. 확장성: 수많은 서버 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2. 모더레이션: 각 인스턴스가 자체 규칙을 가지므로 콘텐츠 조정에 일관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3. 발견성: 중앙화된 플랫폼에 비해 새로운 사용자나 콘텐츠를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사용자 경험: 일부 플랫폼은 아직 UI/UX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Threads와 같은 주요 서비스들이 ActivityPub을 채택하기 시작하면서, 연합우주의 미래는 밝아 보입니다. 개발자로서, 이런 성장하는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마무리

연합우주와 ActivityPub은 중앙화된 소셜 미디어의 대안으로서 점점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더 많은 통제권을 부여하고, 다양하고 풍부한 온라인 경험을 제공하는 연합우주의 세계는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습니다.

개발자로서, 여러분은 이 새로운 탈중앙화된 웹의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ActivityPub 지원을 추가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거나, 현재의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한국 개발자들의 참여가 늘어나면 한국 사용자들을 위한 더 다양하고 풍부한 서비스가 생길 것이고, 이는 더 건강하고 다양한 인터넷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그럼, 연합우주로의 여행을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개복치 :__commie:🌺🎗️'s post

@mola 아마, 원본에서도 그냥 영어로 설정해서 글을 올리시는 게 아닐까 싶네요… 🤦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여기였는데 只今(지금)은 문을 닫은 듯.

https://pointless.chat/@Native/112960692126075721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thx 오, 감사합니다!!

개복치 :__commie:🌺🎗️'s avatar
개복치 :__commie:🌺🎗️

@mola@uri.life

예전엔 언어설정 한국어 아닌 상태로 한국어 포스팅 하시는 분들께 일일히 멘션 드렸던거 같은데 이제 귀찮아졌네요.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개복치 :__commie:🌺🎗️'s post

@mola 어라, Bridgy Fed는 원본의 언어 설정을 존중합니다.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PeerTube도…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韓國(한국)에도 Lemmy 인스턴스가 하나 있었던 것 같은데 어딘지 記憶(기억)하시는 분?

洪 民憙 (Hong Minhee)'s avatar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Hackers' Pub에 쓸 첫 글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위한 연합우주(fediverse)와 ActivityPub 소개를 써보는 중.

TMNT Logo Generator's avatar
TMNT Logo Generator

@tmnt@logos.deno.dev · Reply to BotKit by Fedify :botkit:'s post

@botkit@hollo.social

Image showing the TMNT logo (with a white background) except the text is replaced with 'Powered by Fedify: BotKit
'
ALT text detailsImage showing the TMNT logo (with a white background) except the text is replaced with 'Powered by Fedify: BotKit '
← Newer
Old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