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flow
@newflow@uri.life
한국 연합우주 개발자 디스코드
https://discord.com/invite/B2ABMBpHNA
@hongminhee@hollo.social · 924 following · 1195 followers
An intersectionalist, feminist, and socialist guy living in Seoul (UTC+09:00). @tokolovesme's spouse. Who's behind @fedify, @hollo, and @botkit. Write some free software in #TypeScript, #Haskell, #Rust, & #Python. They/them.
서울에 사는 交叉女性主義者이자 社會主義者. 金剛兔(@tokolovesme)의 配偶者. @fedify, @hollo, @botkit 메인테이너. #TypeScript, #Haskell, #Rust, #Python 等으로 自由 소프트웨어 만듦.
Website | GitHub | Blog | Hackers' Pub |
---|---|---|---|
@newflow@uri.life
한국 연합우주 개발자 디스코드
https://discord.com/invite/B2ABMBpHNA
@uprime@vivaldi.net
排外主義に乗る人の多くは、例えば非正規移民の存在そのものを「不法」としているし、それは交通法規違反の様な、ある程度フェアなイメージで語れるような「不法」ではない。
不法行為をする日本人も同じ様にダメですよね、という様な説明に頷くと、たぶん落とし穴にハマってしまいます。
@inuyamanihongo@mstdn.jp
日語裡有很多像「○っ○り」的單字如: びっくり、すっかり、そっくり、ぐっすり、がっかり、たっぷり、こっそり、てっきり、やっぱり 等 請注意分別。
*
日本語には「○っ○り」という形の語が非常に多く、以前『日本語尾音索引 普及版』(笠間書院)で数えてみたところ、83ありました。初級〜中級の学習者には、この中から20くらいは紹介しています。
なぜこの形が多いのか、という研究などあるのかな。#日本語教育
*
ちなみに、以下が83の「○っ○り」
うっかり、がっかり、きっかり、しっかり、すっかり、どっかり、ばっかり、ぽっかり、ちゃっかり、ぽっきり、めっきり、ちょっきり、ありっきり、まるっきり、がっくり、こっくり、しっくり、じっくり、そっくり、とっくり、ぱっくり、びっくり、ぽっくり、むっくり、ゆっくり、にっこり、ひょっこり、あっさり、どっさり、ばっさり、もっさり、がっしり、ぎっしり、ずっしり、どっしり、びっしり、みっしり、ぐっすり、げっそり、こっそり、ごっそり、のっそり、ひっそり、ほっそり、ぐったり、はったり、ばったり、ぴったり、べったり、ゆったり、かっちり、→
@mck@uri.life
중국어권 언어는 대충 zh-(tw|hk|mo) → zh-hant, zh-(cn|sg) → zh-hans 정도로 처리를 해뒀는데 … 갑자기 궁금해져서 API 서버로 들어오는 헤더에서 대충 뽑아보니까 -hk/-sg/-mo는 이렇더라.
- zh-hk > en > zh-hant > 이하 생략
- zh-sg > en > (ms|ta)-sg > zh-hans > 이하 생략
- zh-mo > pt-mo > zh-hk > zh-hant > en > 이하 생략
@lo48576@mastodon.cardina1.red
Discord は主にユーザコミュニティな気がするし、もっと言えば日本語のそういったコミュニティをあまり知らない
@skoji@sandbox.skoji.jp
Discordもまあまあみかける気はするがそうなのかもなー
@skoji@sandbox.skoji.jp
わたしはDiscordのUIがなぜかめちゃくちゃ苦手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McK's post
@mck Yeah, I could specify the script instead of the region in the language code, but the internationalization framework I'm using doesn't support it. 😩
@hongminhee@hackers.pub
日本ではソフトウェア技術コミュニティにおいて、DiscordよりSlackの方がより一般的な印象。🤔
@hollo@hollo.social
Just dropped Hollo 0.6.4 with a minor bug fix.
@hongminhee@hollo.social
A quick question for Hong Kongers: If a website or app doesn't support zh-HK
locale and only offers zh-CN
and zh-TW
, which one do you prefer?
Option | Voters |
---|---|
zh-CN | 0 (0%) |
zh-TW | 2 (100%) |
@diarapin@hackers.pub
해커스펍의 정체. 버튼을 누르면 어떻게 되나요
@moreal@hackers.pub
최신 Unicode Han Database 중 숫자 표현을 보면 아래 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근데 저 유니코드를 검색해보니 兆가 나오고 이는 두번째 값인 1000000000000
이 맞는 값인 것 같은데
U+5146 kPrimaryNumeric 1000000 1000000000000
kPrimaryNumeric
속성 설명에 의하면 첫 번째 값이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취급되는 것이 맞다는 것 같아서 의문이 들었다 🤔
If an ideograph has more than one numeric value, the first one is to be considered the most common one, and that first value is used for the Numeric_Value property of the ideograph.
Claude에게 물어보니 지역적이거나 역사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라 해서 중국에서 다르게 쓰나 싶었는데, 위키백과 문서들을 참고하니 兆의 의미가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기도 했고, 표기법(셈법?)에 따라 또 다른 듯 하다. 지금 사용하는 단위마다 10000배씩 변화하는 방식은 만진법이라고 하는 것 같다.
@hongminhee@hollo.social
A quick question for Hong Kongers: If a website or app doesn't support zh-HK
locale and only offers zh-CN
and zh-TW
, which one do you prefer?
Option | Voters |
---|---|
zh-CN | 0 (0%) |
zh-TW | 2 (100%) |
@yamako@fedibird.com
反骨精神のスタック礼賛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contrarian-stack/ja
非常によい [参照]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以下の二つの技術トピックのうち、どちらに興味がありますか?
Option | Voters |
---|---|
一般的なActivityPubサーバーソフトウェアの開発 | 8 (89%) |
フェディバース上のボット開発 | 1 (11%) |
@tesaguri@fedibird.com
`isCat`があって`isDog`がないのは不当
@yamanoku@hollo.yamanoku.net · Reply to yamanoku's post
ReactというかReduxかもという話をしてた
@yamanoku@hollo.yamanoku.net · Reply to yamanoku's post
ReactはMVCアーキテクチャへの反骨というか、jQueryによる手続き型への反骨なのかなというのが自分の理解でした
@dansup@mastodon.social
Just pushed the 100th commit to loops 🥳
Can't wait to tag the v1.0.0-alpha, we're so close 🚀
@yamanoku@hollo.yamanoku.net
@hongminhee@hackers.pub
예전부터 기술 스택을 정할 때는 꼭 청개구리 같은 기술을 고르곤 했다. 2000년대 말에 Ruby로 웹 개발을 할 때에는 Rails 대신 Sinatra를 DataMapper와 함께 썼다. JavaScript 프레임워크를 쓸 때도 Prototype 대신 MooTools를 썼다. 2010년대 초반에 Python으로 웹 개발을 할 때는 Django를 안 쓰고 Werkzeug을 SQLAlchemy와 함께 썼다. 요즘에는 React와 Next.js를 안 쓰고 Solid와 SolidStart를 쓴다. 나는 요즘 이렇게 남들 쓰는 기술을 안 쓰고 꼭 삐딱하게 대안 기술만 골라서 쓰는 것을 두고 청개구리 스택이라고 부르고 있다. 아마도 반댓말은 정석 스택 정도가 될 것이다.
청개구리 스택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쓰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를 만날 일이 좀 더 많고, 트러블슈팅을 할 때도 다른 사람이 이미 찾은 해결책을 쓰지 못하고 직접 해결해야 할 때도 많다. 하지만 이것이 곧 그 기술, 그리고 그 기술을 너머서 그 분야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갖추게 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Werkzeug의 추상화 수준이 높지 않아서 그 위에서 사실상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서 써야 했다. 물론, 이를 누군가는 삽질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런 “삽질”이 나를 성장시킨 것도 사실이다. Stack Overflow에 답이 없을 때, 소스 코드를 직접 읽어야 했고, 그 과정에서 HTTP 프로토콜의 세세한 부분까지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기술이 오픈 소스라면, 실제로 그 기술에 기여할 기회도 많이 얻는다. 내가 제출한 풀 리퀘스트가 머지되는 순간의 희열은 정석 스택에서는 느끼기 힘든 것이다.
청개구리 스택의 또 다른 특징은 대체로 후발주자라는 것이다. 즉, 정석 스택에서 불만스러운 부분을 인식한 사람들이 참지 못하고 만든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대안적인 설계를 하게 된다. Solid가 React의 가상 DOM 오버헤드를 피하기 위해 정밀한 반응성(fine-grained reactivity)을 구현한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그러한 대안적인 설계가 정석 스택의 설계보다 더 나을 때도 많다. 정석 스택의 잘못된 선택들을 보고 배운 다음 그것들을 피해서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청개구리 스택을 선택한 사람은 정석 스택을 선택한 사람보다 그 분야에 대해 조금 더 나은 이해, 좀 더 정돈된 이해를 갖출 기회가 더 많다.
한편, 정석 스택은 많은 경우 종합 선물 세트의 형태를 갖는 경우가 많다. Rails의 “설정보다 관행”(convention over configuration), Django의 “배터리 포함”(batteries included), Next.js의 풀 스택 솔루션을 생각해 보면 내부적으로는 여러 기술들을 품고 있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그 경계를 느끼지 못할 만큼 잘 통합되어 있는 편이다. 반면 청개구리 스택은 많은 경우 여러 부품을 사용자가 직접 고른 다음 조립까지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들긴 하지만 각 부품에 대해 최선을 고를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각 기술에 대해 좀 더 깊게 이해할 기회가 된다.
이 조립 과정은 때로는 지난하다. Sinatra + DataMapper + Haml + Sass를 조합하면서 각각의 설정을 맞추고, 미들웨어를 연결하고, 오류를 디버깅하는 시간. 하지만 이 과정에서 나는 웹 프레임워크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각 계층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더 깊게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이해는 나중에 어떤 스택을 쓰든 큰 자산이 되었다.
그러나 한 가지 명심해야 할 것은, 오늘의 정석 스택도 과거에는 청개구리 스택으로 시작했을 수 있으며, 오늘의 청개구리 스택도 미래에는 정석 스택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Ruby on Rails도 처음에는 Java 웹 개발의 대안으로 부상했고, React도 Backbone.js 같은 과거의 MVC 웹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의 대안으로 주목 받지 않았던가? 즉, 각 기술이 중요하다기 보다는 언제나 새로운 대안에 눈길을 주는 호기심과 기술적인 의사 결정을 할 때 기술 선택의 근거를 그저 대중의 선택에 위임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주체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학습과 추론이 분리되어 있는 LLM의 한계 탓에 앞으로 정석 스택은 더욱 더 정석이 되고, 청개구리 스택의 불리함은 커질 것이다. Claude Code는 Next.js 코드는 술술 짜주지만 SolidStart 코드는 헤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개구리 스택만이 줄 수 있는 배움의 기회는 여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LLM 시대에도 나는 계속 청개구리의 길을 걸을 것이다. 왜냐하면 청개구리 스택이 주는 배움의 기회는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서, 기술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함양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가끔은 Stack Overflow에 답이 없는 길을 걸어보길 권한다. 그 끝에서 만나는 깨달음은 온전히 자신의 것이 될 것이다.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どっちにしようかな…🤔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アンケートを取ったら同率になってしまいました。アンケートの意味がなくなってしまった…😂
@nibushibu@vivaldi.net
全然技術レベルの違う話ではあるけど、自分もデザイナーなのに #反骨スタック っぽい選択をしてきた気がしている。
正確には、自分のスキルと時間的制約とワンオペでの制作・開発という事情でその選択肢しかなかったという側面が大きくて、能動的に選べる選択肢がそれしか無かったんだけど。
ただ、確かに低レイヤーを触る動機が生まれるという意味では良い面もあった気はする。
自分の生存戦略が、なるべくフレームワークとかライブラリに依存しないスキルの勉強にかける、だったから、そういう観点で当時選んだのが「薄い」フロントエンドライブラリとしての #RiotJS だったし、未だに素の #CSS を書きたくなってしまう性質に繋がっている気がする。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洪 民憙 (Hong Minhee)'s post
@hongminhee@hackers.pub
예전부터 기술 스택을 정할 때는 꼭 청개구리 같은 기술을 고르곤 했다. 2000년대 말에 Ruby로 웹 개발을 할 때에는 Rails 대신 Sinatra를 DataMapper와 함께 썼다. JavaScript 프레임워크를 쓸 때도 Prototype 대신 MooTools를 썼다. 2010년대 초반에 Python으로 웹 개발을 할 때는 Django를 안 쓰고 Werkzeug을 SQLAlchemy와 함께 썼다. 요즘에는 React와 Next.js를 안 쓰고 Solid와 SolidStart를 쓴다. 나는 요즘 이렇게 남들 쓰는 기술을 안 쓰고 꼭 삐딱하게 대안 기술만 골라서 쓰는 것을 두고 청개구리 스택이라고 부르고 있다. 아마도 반댓말은 정석 스택 정도가 될 것이다.
청개구리 스택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쓰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를 만날 일이 좀 더 많고, 트러블슈팅을 할 때도 다른 사람이 이미 찾은 해결책을 쓰지 못하고 직접 해결해야 할 때도 많다. 하지만 이것이 곧 그 기술, 그리고 그 기술을 너머서 그 분야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갖추게 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Werkzeug의 추상화 수준이 높지 않아서 그 위에서 사실상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서 써야 했다. 물론, 이를 누군가는 삽질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런 “삽질”이 나를 성장시킨 것도 사실이다. Stack Overflow에 답이 없을 때, 소스 코드를 직접 읽어야 했고, 그 과정에서 HTTP 프로토콜의 세세한 부분까지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기술이 오픈 소스라면, 실제로 그 기술에 기여할 기회도 많이 얻는다. 내가 제출한 풀 리퀘스트가 머지되는 순간의 희열은 정석 스택에서는 느끼기 힘든 것이다.
청개구리 스택의 또 다른 특징은 대체로 후발주자라는 것이다. 즉, 정석 스택에서 불만스러운 부분을 인식한 사람들이 참지 못하고 만든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대안적인 설계를 하게 된다. Solid가 React의 가상 DOM 오버헤드를 피하기 위해 정밀한 반응성(fine-grained reactivity)을 구현한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그러한 대안적인 설계가 정석 스택의 설계보다 더 나을 때도 많다. 정석 스택의 잘못된 선택들을 보고 배운 다음 그것들을 피해서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청개구리 스택을 선택한 사람은 정석 스택을 선택한 사람보다 그 분야에 대해 조금 더 나은 이해, 좀 더 정돈된 이해를 갖출 기회가 더 많다.
한편, 정석 스택은 많은 경우 종합 선물 세트의 형태를 갖는 경우가 많다. Rails의 “설정보다 관행”(convention over configuration), Django의 “배터리 포함”(batteries included), Next.js의 풀 스택 솔루션을 생각해 보면 내부적으로는 여러 기술들을 품고 있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그 경계를 느끼지 못할 만큼 잘 통합되어 있는 편이다. 반면 청개구리 스택은 많은 경우 여러 부품을 사용자가 직접 고른 다음 조립까지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들긴 하지만 각 부품에 대해 최선을 고를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각 기술에 대해 좀 더 깊게 이해할 기회가 된다.
이 조립 과정은 때로는 지난하다. Sinatra + DataMapper + Haml + Sass를 조합하면서 각각의 설정을 맞추고, 미들웨어를 연결하고, 오류를 디버깅하는 시간. 하지만 이 과정에서 나는 웹 프레임워크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각 계층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더 깊게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이해는 나중에 어떤 스택을 쓰든 큰 자산이 되었다.
그러나 한 가지 명심해야 할 것은, 오늘의 정석 스택도 과거에는 청개구리 스택으로 시작했을 수 있으며, 오늘의 청개구리 스택도 미래에는 정석 스택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Ruby on Rails도 처음에는 Java 웹 개발의 대안으로 부상했고, React도 Backbone.js 같은 과거의 MVC 웹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의 대안으로 주목 받지 않았던가? 즉, 각 기술이 중요하다기 보다는 언제나 새로운 대안에 눈길을 주는 호기심과 기술적인 의사 결정을 할 때 기술 선택의 근거를 그저 대중의 선택에 위임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주체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학습과 추론이 분리되어 있는 LLM의 한계 탓에 앞으로 정석 스택은 더욱 더 정석이 되고, 청개구리 스택의 불리함은 커질 것이다. Claude Code는 Next.js 코드는 술술 짜주지만 SolidStart 코드는 헤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개구리 스택만이 줄 수 있는 배움의 기회는 여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LLM 시대에도 나는 계속 청개구리의 길을 걸을 것이다. 왜냐하면 청개구리 스택이 주는 배움의 기회는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서, 기술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함양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가끔은 Stack Overflow에 답이 없는 길을 걸어보길 권한다. 그 끝에서 만나는 깨달음은 온전히 자신의 것이 될 것이다.
@hongminhee@hollo.social
@hongminhee@hackers.pub
예전부터 기술 스택을 정할 때는 꼭 청개구리 같은 기술을 고르곤 했다. 2000년대 말에 Ruby로 웹 개발을 할 때에는 Rails 대신 Sinatra를 DataMapper와 함께 썼다. JavaScript 프레임워크를 쓸 때도 Prototype 대신 MooTools를 썼다. 2010년대 초반에 Python으로 웹 개발을 할 때는 Django를 안 쓰고 Werkzeug을 SQLAlchemy와 함께 썼다. 요즘에는 React와 Next.js를 안 쓰고 Solid와 SolidStart를 쓴다. 나는 요즘 이렇게 남들 쓰는 기술을 안 쓰고 꼭 삐딱하게 대안 기술만 골라서 쓰는 것을 두고 청개구리 스택이라고 부르고 있다. 아마도 반댓말은 정석 스택 정도가 될 것이다.
청개구리 스택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쓰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를 만날 일이 좀 더 많고, 트러블슈팅을 할 때도 다른 사람이 이미 찾은 해결책을 쓰지 못하고 직접 해결해야 할 때도 많다. 하지만 이것이 곧 그 기술, 그리고 그 기술을 너머서 그 분야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갖추게 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Werkzeug의 추상화 수준이 높지 않아서 그 위에서 사실상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서 써야 했다. 물론, 이를 누군가는 삽질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런 “삽질”이 나를 성장시킨 것도 사실이다. Stack Overflow에 답이 없을 때, 소스 코드를 직접 읽어야 했고, 그 과정에서 HTTP 프로토콜의 세세한 부분까지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기술이 오픈 소스라면, 실제로 그 기술에 기여할 기회도 많이 얻는다. 내가 제출한 풀 리퀘스트가 머지되는 순간의 희열은 정석 스택에서는 느끼기 힘든 것이다.
청개구리 스택의 또 다른 특징은 대체로 후발주자라는 것이다. 즉, 정석 스택에서 불만스러운 부분을 인식한 사람들이 참지 못하고 만든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대안적인 설계를 하게 된다. Solid가 React의 가상 DOM 오버헤드를 피하기 위해 정밀한 반응성(fine-grained reactivity)을 구현한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그러한 대안적인 설계가 정석 스택의 설계보다 더 나을 때도 많다. 정석 스택의 잘못된 선택들을 보고 배운 다음 그것들을 피해서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청개구리 스택을 선택한 사람은 정석 스택을 선택한 사람보다 그 분야에 대해 조금 더 나은 이해, 좀 더 정돈된 이해를 갖출 기회가 더 많다.
한편, 정석 스택은 많은 경우 종합 선물 세트의 형태를 갖는 경우가 많다. Rails의 “설정보다 관행”(convention over configuration), Django의 “배터리 포함”(batteries included), Next.js의 풀 스택 솔루션을 생각해 보면 내부적으로는 여러 기술들을 품고 있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그 경계를 느끼지 못할 만큼 잘 통합되어 있는 편이다. 반면 청개구리 스택은 많은 경우 여러 부품을 사용자가 직접 고른 다음 조립까지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들긴 하지만 각 부품에 대해 최선을 고를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각 기술에 대해 좀 더 깊게 이해할 기회가 된다.
이 조립 과정은 때로는 지난하다. Sinatra + DataMapper + Haml + Sass를 조합하면서 각각의 설정을 맞추고, 미들웨어를 연결하고, 오류를 디버깅하는 시간. 하지만 이 과정에서 나는 웹 프레임워크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각 계층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더 깊게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이해는 나중에 어떤 스택을 쓰든 큰 자산이 되었다.
그러나 한 가지 명심해야 할 것은, 오늘의 정석 스택도 과거에는 청개구리 스택으로 시작했을 수 있으며, 오늘의 청개구리 스택도 미래에는 정석 스택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Ruby on Rails도 처음에는 Java 웹 개발의 대안으로 부상했고, React도 Backbone.js 같은 과거의 MVC 웹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의 대안으로 주목 받지 않았던가? 즉, 각 기술이 중요하다기 보다는 언제나 새로운 대안에 눈길을 주는 호기심과 기술적인 의사 결정을 할 때 기술 선택의 근거를 그저 대중의 선택에 위임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주체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학습과 추론이 분리되어 있는 LLM의 한계 탓에 앞으로 정석 스택은 더욱 더 정석이 되고, 청개구리 스택의 불리함은 커질 것이다. Claude Code는 Next.js 코드는 술술 짜주지만 SolidStart 코드는 헤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개구리 스택만이 줄 수 있는 배움의 기회는 여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LLM 시대에도 나는 계속 청개구리의 길을 걸을 것이다. 왜냐하면 청개구리 스택이 주는 배움의 기회는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서, 기술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함양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가끔은 Stack Overflow에 답이 없는 길을 걸어보길 권한다. 그 끝에서 만나는 깨달음은 온전히 자신의 것이 될 것이다.
@hongminhee@hackers.pub
예전부터 기술 스택을 정할 때는 꼭 청개구리 같은 기술을 고르곤 했다. 2000년대 말에 Ruby로 웹 개발을 할 때에는 Rails 대신 Sinatra를 DataMapper와 함께 썼다. JavaScript 프레임워크를 쓸 때도 Prototype 대신 MooTools를 썼다. 2010년대 초반에 Python으로 웹 개발을 할 때는 Django를 안 쓰고 Werkzeug을 SQLAlchemy와 함께 썼다. 요즘에는 React와 Next.js를 안 쓰고 Solid와 SolidStart를 쓴다. 나는 요즘 이렇게 남들 쓰는 기술을 안 쓰고 꼭 삐딱하게 대안 기술만 골라서 쓰는 것을 두고 청개구리 스택이라고 부르고 있다. 아마도 반댓말은 정석 스택 정도가 될 것이다.
청개구리 스택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쓰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를 만날 일이 좀 더 많고, 트러블슈팅을 할 때도 다른 사람이 이미 찾은 해결책을 쓰지 못하고 직접 해결해야 할 때도 많다. 하지만 이것이 곧 그 기술, 그리고 그 기술을 너머서 그 분야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갖추게 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Werkzeug의 추상화 수준이 높지 않아서 그 위에서 사실상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서 써야 했다. 물론, 이를 누군가는 삽질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런 “삽질”이 나를 성장시킨 것도 사실이다. Stack Overflow에 답이 없을 때, 소스 코드를 직접 읽어야 했고, 그 과정에서 HTTP 프로토콜의 세세한 부분까지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기술이 오픈 소스라면, 실제로 그 기술에 기여할 기회도 많이 얻는다. 내가 제출한 풀 리퀘스트가 머지되는 순간의 희열은 정석 스택에서는 느끼기 힘든 것이다.
청개구리 스택의 또 다른 특징은 대체로 후발주자라는 것이다. 즉, 정석 스택에서 불만스러운 부분을 인식한 사람들이 참지 못하고 만든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대안적인 설계를 하게 된다. Solid가 React의 가상 DOM 오버헤드를 피하기 위해 정밀한 반응성(fine-grained reactivity)을 구현한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그러한 대안적인 설계가 정석 스택의 설계보다 더 나을 때도 많다. 정석 스택의 잘못된 선택들을 보고 배운 다음 그것들을 피해서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청개구리 스택을 선택한 사람은 정석 스택을 선택한 사람보다 그 분야에 대해 조금 더 나은 이해, 좀 더 정돈된 이해를 갖출 기회가 더 많다.
한편, 정석 스택은 많은 경우 종합 선물 세트의 형태를 갖는 경우가 많다. Rails의 “설정보다 관행”(convention over configuration), Django의 “배터리 포함”(batteries included), Next.js의 풀 스택 솔루션을 생각해 보면 내부적으로는 여러 기술들을 품고 있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그 경계를 느끼지 못할 만큼 잘 통합되어 있는 편이다. 반면 청개구리 스택은 많은 경우 여러 부품을 사용자가 직접 고른 다음 조립까지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들긴 하지만 각 부품에 대해 최선을 고를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각 기술에 대해 좀 더 깊게 이해할 기회가 된다.
이 조립 과정은 때로는 지난하다. Sinatra + DataMapper + Haml + Sass를 조합하면서 각각의 설정을 맞추고, 미들웨어를 연결하고, 오류를 디버깅하는 시간. 하지만 이 과정에서 나는 웹 프레임워크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각 계층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더 깊게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이해는 나중에 어떤 스택을 쓰든 큰 자산이 되었다.
그러나 한 가지 명심해야 할 것은, 오늘의 정석 스택도 과거에는 청개구리 스택으로 시작했을 수 있으며, 오늘의 청개구리 스택도 미래에는 정석 스택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Ruby on Rails도 처음에는 Java 웹 개발의 대안으로 부상했고, React도 Backbone.js 같은 과거의 MVC 웹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의 대안으로 주목 받지 않았던가? 즉, 각 기술이 중요하다기 보다는 언제나 새로운 대안에 눈길을 주는 호기심과 기술적인 의사 결정을 할 때 기술 선택의 근거를 그저 대중의 선택에 위임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주체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학습과 추론이 분리되어 있는 LLM의 한계 탓에 앞으로 정석 스택은 더욱 더 정석이 되고, 청개구리 스택의 불리함은 커질 것이다. Claude Code는 Next.js 코드는 술술 짜주지만 SolidStart 코드는 헤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개구리 스택만이 줄 수 있는 배움의 기회는 여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LLM 시대에도 나는 계속 청개구리의 길을 걸을 것이다. 왜냐하면 청개구리 스택이 주는 배움의 기회는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서, 기술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함양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가끔은 Stack Overflow에 답이 없는 길을 걸어보길 권한다. 그 끝에서 만나는 깨달음은 온전히 자신의 것이 될 것이다.
@hongminhee@hollo.social
OSC京都2025でどちらの発表を聞きたいですか?
8月3日のOSC京都で10分間のセミナー発表をすることになりました。二つのテーマで迷っているので、皆さんのご意見をお聞かせください!
どちらのテーマに興味がありますか?
Option | Voters |
---|---|
Fedify CLI:ActivityPubデバッグツール | 13 (50%) |
BotKit:誰でも作れるActivityPubボット | 13 (50%) |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leetekwoo's post
@leetekwoo 첫걸음이 어렵죠… 저도 일본 문화에는 아주 어릴 때부터 관심 있었는데, 일본어 학습을 시작한 건 서른 넘어서예요! 왜 더 일찍 배우지 않을까 후회가 많았답니다. ㅎㅎㅎ
한국어 화자 입장에서 일본어는 문법도 비슷하고 발음도 비교적 쉬운 편이라 노력에 비해 실력이 금방 느는 언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한국어 화자가 일본어를 안 배우면 좀 아깝다(?)는 생각도 들어요.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leetekwoo's post
@leetekwoo 한국말 할 줄 아시면 일본어는 금방 배워요!